1월 12일~1월 17일

LG화학은 제너럴모터스(GM)가 2010년 하반기 세계 최초로 양산할 예정인 전기자동차 ‘시보레 볼트’(사진)에 장착하는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의 단독 공급 업체로 최종 선정됐다고 1월 13일 밝혔다.자동차용 배터리 분야의 후발 주자인 LG화학이 GM의 ‘관문’을 뚫음에 따라 세계 자동차 메이커들의 전기차 양산 경쟁으로 후끈 달아오른 자동차용 배터리 시장을 선점할 호기를 잡은 셈이다. 김반석 LG화학 부회장은 “LG화학 60여 년 역사에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올 초대형 사업”이라며 “앞으로 자동차용 배터리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입지를 굳히게 됐다”고 말했다. 지난해 8000억 원이었던 자동차용 배터리 시장은 2010년 2조1000억 원, 2012년께면 3조2000억 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6년의 계약 기간 동안 GM이 30만 대의 전기자동차를 생산할 경우 LG화학은 전지 공급으로 총 2조 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경제 정책대법원에 따르면 2008년 경매에 부쳐진 주택 중 4만2442채가 실제 낙찰됐다. 여기서 주택이란 아파트,단독주택,다가구·다세대주택을 포함한 것이고 오피스텔은 제외한 것이다. 서울 지역만 자치구별로 보면 은평구가 231채로 경매로 소유주가 바뀐 주택이 가장 많았고 강서구 196채,강남구가 179채로 뒤를 이었다. 연도별로는 2004년 7만7633채였던 경매 낙찰 주택은 2005년 8만9684채로 정점을 이룬 후 2006년 7만5725채,2007년 4만6517채,2008년 4만2442채로 계속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서울시는 재건축 단지에 조합원 몫 이외에 추가로 짓게 되는 ‘주택의 크기별 비율’ 규정(도시환경정비 조례)을 현행(60㎡ 이하 20% ,60㎡ 초과~85㎡ 이하 40%, 85㎡ 초과 40%)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하지만 국토해양부가 지난해 발표한 ‘11·3대책’에서 재건축 단지 내 소형 주택 의무 비율을 ‘전용 85㎡ 이하 60%’로 완화했는데 서울시가 종전 규정을 적용하기로 함에 따라 논란이 예상된다. 또 서울시는 일대일 재건축 아파트라도 용적률을 법적정 상한선까지 허용해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주택을 의무적으로 짓도록 했다.산업 기업삼성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500여 명에 달하는 본사(경영지원총괄) 조직 대부분의 임직원들을 △수원(디지털미디어총괄 정보통신총괄) △기흥·화성(반도체총괄) △탕정(LCD총괄) 등 주요 사업부 총괄이 자리 잡고 있는 현장으로 분산 배치할 계획이다. 전통적으로 ‘관리의 삼성’으로 불려 온 삼성이 ‘관리’의 핵인 경영지원총괄 조직을 분해하기로 함에 따라 그룹 전반에 적지 않은 충격파가 예상된다. 이는 삼성전자가 최근 경영 환경과 성과에 대한 그룹 수뇌부의 위기의식이 최고조에 달해 있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해운 업계에 따르면 세계 최대 컨테이너 정기선사인 덴마크의 머스크라인은 지난해 12월 아시아~북미 간 컨테이너 운임을 FEU(4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당 1700달러에서 사실상 ‘제로(0)’ 마진인 1300달러로 인하했다. 머스크가 컨테이너 운송 요금을 낮추자 세계 2위 컨테이너 선사인 MSC와 중국 최대 선사인 COSCO, 완하이라인, CSCL, 에버그린 등 해외 선사들도 잇달아 운임 인하 대열에 가세하고 있다. 해운 전문가들은 “불황 때 운임을 대폭 낮춰 후발 주자들을 도태시킨 뒤 호황이 오면 물량을 독식하려는 전략이 밑바탕에 깔려 있다”고 진단했다.금융 증권국제 신용 평가 회사인 무디스가 국내 10개 금융사에 대한 신용 등급 하향을 검토 중이라고 15일 발표했다. 등급 하향 검토 대상은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국민은행(이상 Aa3) 농협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이상 A1) 우리금융지주 한국씨티은행(이상 A2)이다. 무디스는 “한국 금융사들이 보유한 부채의 상당 부분이 외채”라며 “정부의 외환 공급에 의존할 경우 은행의 채무 변제 능력이 한국 정부의 외화 채무 변제 능력에 좌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증권업협회와 자산운용협회가 마련해 2월 4일부터 시행에 들어갈 ‘표준 투자 권유 준칙’이 펀드 가입 자격을 지나치게 제한해 불만을 사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이나 파생상품 투자 경험이 1년 미만인 투자자들에게 파생상품을 권유하지 못하게 제한하고 초보 투자자들은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는 주식형 펀드 가입을 제한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이 준칙은 형식적으로는 가이드라인이지만 앞으로 불완전 판매 여부를 가르는 결정적인 잣대가 되기 때문에 사실상 강제 조항이어서 펀드 시장이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정리=우종국 기자 xyz@kbizwee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