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직접 위성방송(DBS)과 케이블TV는 경쟁관계인가, 상호보완관계인가?올해에는 국내에서도 본격적인 위성방송시대가 개막된다. 7월에는KBS가 국내 최초로 시험방송에 들어가고 97년 1월부터는 MBC와SBS가 가세한다. 우리나라도 공중파, 케이블, 직접위성방송을 갖춘종합방송망 체제를 구축하게 되는 셈이다.지난해 8월 발사된 무궁화 1호 위성은 15대의 중계기를 탑재하고있다. 이중 12대는 통신용이고 3대는 방송용이다. 중계기 하나당4개 채널을 쓸 수 있는 만큼 총 12개의 채널이 확보된다. 여기에1월 14일 발사된 2호 위성의 채널까지 더하면 모두 24개를 방송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결국 시험서비스가 끝나고 본방송이 시작되는 97년에는 5개의 공중파, 27개의 케이블채널에 24개의 위성채널이 더해져 50여개의 채널이 시청자를 향해 쏟아지게 된다.이러한 채널 홍수는 시청자들에게 메선택의 권리멕를 마음껏 누릴수 있도록 하는 반면 뉴미디어의 총아로 떠오르고 있는 케이블TV와위성방송간에 치열한 미디어경쟁을 촉발시킬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지난해 선진방송정책자문위원회가 위성방송도 케이블방송과 마찬가지로 종합편성을 지양하고 영화 스포츠 음악 오락 등 전문채널로 운영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음으로써 케이블 TV와 위성방송이같은 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했다.◆ 케이블TV 전송망, DBS수신망으로 운영직접위성방송(DBS)은 지상에서 송신한 전파를 인공위성이 수신해중계기로 증폭한뒤 이를 다시 지상으로 송출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케이블방송은 불특정다수에게 보내는 무선 전파방송과 달리 한정된가입자에게 유선을 통해 방송프로그램을 공급한다.따라서 직접위성방송은 지역적한계가 있는 케이블방송과 달리 어디서나 수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직접위성방송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그러나 전문가들은 직접위성방송의 미래가 밝지만은 않다고 얘기한다.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는 수신기 문제 현재 보급되어 있는 아날로그방식의 TV모니터로는 시청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청자들은70만~1백만원 상당의 수신장비를 구입해야 한다. 또 초기에는 수신료 없이 광고수입만으로 운영해야 하는데 시청률이 광고주의 관심을 끌 정도가 될지도 미지수이다.한편 지난해말 현재 50만이상의 시청가구를 확보한 케이블TV는 올해 직접위성방송에 맞서 저렴한 설치비용을 바탕으로 한 가입자 관리와 확장에 전력할 것으로 보인다. 경쟁력을 갖추기위해 기존의유선망과 함께 무선케이블을 이용한 다각적인 방송시스템구축도 추진중인 것으로 전해진다.그러나 현재의 프로그램 제작환경과 부족한 인력, 열악한 자본과불투명한 광고시장, 위성방송의 진입등은 케이블TV의 앞날 또한 분홍빛만은 아님을 전해준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이제 막 도입단계에접어든 케이블TV와 직접위성방송이 경쟁에 휘말리기보다는 상호보완적 차원에서 협력관계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프로그램 제작면에서 양자가 상호보완적 입장을 취한다면 시청자가선택할 수 있는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종류와 수가 크게 증가함으로써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또 케이블TV 전송망을 직접위성방송의 수신망으로 복합 운용하는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접시형안테나 없이 케이블을 통해 위성방송을 수신할 수 있어 불필요한 경쟁을 피하면서 다양한 시청자를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외국의 위성방송이 우리 안방으로 거세게 밀어닥치는 상황에서 자립기반과 국제경쟁력을 다지고 매체간의 균형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케이블TV와 직접 위성방송이 불필요한 경쟁을 피하고 최대한 협력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