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지구상에는 사람이 느끼든 느끼지 못하든 약 1백만번의 지진이 일어나고 있다고 한다. 이중 진도 8이상의 지진이 평균 2차례,진도 7이상은 20번 정도 발생한다는 통계도 나와있다.「阪神대지진」으로 이름붙여진 지난해 1월 의 일본대지진에 이어최근 중국의 운남성에서 7도가 넘는 강진이 발생, 수백명의 인명피해를 냈다. 우리나라에서도 충남 홍성 등 국내 곳곳에서 진도3~5정도의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과연 한반도가 지진안전지대인가라는 의문이 고개를 들고 있는 셈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도 위험권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지 않다. 역사상 기록으로 볼때1565년 한해동안 우리나라에선 무려 1백4회나 지진이 일어났다.가장 큰 피해를 낸 지진은 779년 경북 경주지방에서 발생한 것으로약 1백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지진계가 설치된 1905년이후 관측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에도 매년5회이상 지진이 일어났다. 그중 가장 큰 지진은 지난 1917년 7월함북 청진 나진지역에서 일어난 것으로 진도가 무려 7.5였다.리히터 진도계를 기준으로 하면 땅이 갈라지고 단층현상이 일어나는 정도. 지난해 1월 일본대지진과 비슷한 수준인 셈이다. 최근 들어선 약 3분9초동안 계속된 충남 홍성지진(78년 10월 진도5). 그당시에도 지반이 균열되고 건물이 파열되는 등 약 5억원의 피해가났다. 지난 78년이후에만 우리나라에선 2백36회의 지진이 일어난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충남 서산과 경남 양산을 가로지르는 너비 1백20㎞의 신생대 단층지대는 다른 지역에비해 지진에 취약한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정부 집계에 따르면 90년이후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은 90년 15건,91년 19건, 92년 15건, 93년 22건, 94년 25건, 95년 29건 등 매년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이에따라 정부는 지하철 항만등 주요시설의 내진설계기준을 강화한다는 방침아래 97년부터 2001년까지 구조물별 내진설계에 필요한상세한 설계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지진에 대한 예방대책은 정부의 이같은 방침처럼 지하철 등 주요시설과 고층건물 등 각종 대형구조물의 내진설계와 시공, 안전대피방법 등을 들 수 있으나 인간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천재지변인까닭에 완벽을 기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불시에 일어날 수 있는 지진에 의한 위험을 줄이는데 보험이 한몫을 하는 것도 이때문.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일본은 지진관련보험이 보편화되어 있고 뉴질랜드 스페인 스위스 등은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강제보험성격을 띠고 있다.그러나 우리나라에선 지진보험이란 종목이 별도로 없고 각종보험의특별약관형식으로 지진위험을 담보하고 있으나 가입실적은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지진위험을 담보하는 상품은 화재보험 동산종합보험 조립건설공사보험 기계보험 전자기기보험 등이 있다.지진은 강도와 빈도에 있어 차이는 있을지언정 어느 지역이 안전지대라고 단정짓기 어렵다.우리나라에도 「언제 어디서든」지진이일어날 수 있다는 얘기다. 이에 대비해 지진예보에 관한 체계적인연구와 지진위험을 담보하는 보험의 보상범위 등을 구체적으로 정해 보험가입을 유도하는 당국과 보험업계의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