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은 사업구조조정에 대해 대체로 낙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대상기업의 65%가 세부여건들이 사업구조조정에 도움이되는 방향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특히 금리인하, 해외자금조달 기회 확대, 주식 및 채권 발행 규제완화, 벤처캐피털 육성 등의 자금관련 항목, 연구개발투자확대, 해외기술도입 자유화 등 기술력확보와 관련된 항목, 경쟁촉진 및 공정거래 강화, 해외 직접투자제도 개선 등은 70% 이상의 기업이 개선될 것으로 낙관하였다.그러나 잘못된 대출관행 시정, 정리해고 강화, 한계산업의 효과적인 퇴출, 출자규제 완화 등 최근 논란이 많은 부분에 대해서는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기업들의 낙관적인 기대에도 불구하고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여전히 많았다.첫째, 정부의 향후 산업구조조정정책은 규제완화와 세제 및 금융지원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업구조 조정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중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에 과반수가 넘는 기업들(51.5%)이 규제완화를 지적했다. 이는 그동안 정부가 규제완화를 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그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반면 향후 효율적인 산업구조조정을 위해서는 기업의 시장진입과 퇴출에 대한 정부의 개입이 축소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하기도 한다. 한편 유망업종 창업에 대한 세제 및 금융지원을 꼽은 응답비율은 25.1%를 차지했다.정부가 앞장서서 민간기업을 지원하고 끌어주는 정책보다는 기업의역량과 자율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기업들은 더바라고 있음을 의미한다.둘째, 기업들은 구조조정과정에서 파생될 수 있는 여러가지 부작용을 정부가 나서서 해소시켜 주는데 신경써주기를 기대하고 있다.기업들은 산업구조 조정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 실업증가(48.5%), 국내 제조업 공동화(16.0%), 서비스산업의이상비대(11.7%)를 가장 우려했다.◆ 역량·자율성 발휘할 여건 조성 희망특히 실업에 대한 바람직한 대응방안으로는 49.1%가 창업지원을 통한 고용창출을, 30.4%는 직업전환교육 강화를 들어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희망했다. 그러나 실업보험 강화는 4.3%로 나타나 기업에 부담이 되는 대응은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5.7%와10.4%의 응답자는 취업정보교류 강화와 노동시장의 기능에 맡기는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실업문제 해결이 구조조정에 대한 저항을 해소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셋째,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긴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추진돼온 정부의 산업구조 조정정책이 해당 기업의 사업구조 조정에 기여했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대다수(79.1%)는 영향이 없었다고 대답했고, 11.7%는 오히려 부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응답하였다. 두가지 응답자의 비율을 합해서 보면 90.9%가 정책효과에 대해서 부정적인 견해를 보인 것이다. 이는지금까지의 산업구조 조정정책이 기업의 입장에서 볼 때 유명무실했음을 보여 주는 단면이다. 반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응답은9.1%에 불과했다.그리고 구조조정을 위해 정부가 수행한 역할 중에서 가장 잘못된것이 무엇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에 64.6%가 정책의 일관성 결여를,21.0%는 규제강화를 각각 들었다.따라서 정책당국은 앞으로 규제완화, 정책의 일관성 제고, 적극적인 고용정책 등을 통해 우리나라 산업구조 조정이 올바르게 추진되도록 배전의 노력을 경주해 나가야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