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이 IMF체제 이후 붕괴위기에 직면해 있다. 국내건설업체의부도는 IMF체제가 본격화된 작년 12월의 2백72개사에서 올 1월에는3백77개사로 늘어났다. 2월과 3월 그리고 4월에는 각각 3백32개사,2백39개사, 1백77개사였다. 부도율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올들어 4월까지 전체 부도업체수가 작년 같은 기간의 3백60개사보다3배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특히 전문건설사 및 설비업체의 부도는일반건설업체가 부도난 뒤 6개월후부터 본격화된다는 점을 고려할때 금융산업의 구조조정시기와 맞물려 재무구조가 부실한 건설업체들의 연이은 부도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건설산업이 다른 산업에 비해 더 어려운 이유를 살펴보자. 우선20%대 이상인 고금리를 주더라도 금융권으로부터 자금의 신규차입및 연장이 어렵다는 점이다. 한마디로 돈을 빌릴 수 없는 상황이다. 건설업은 자금의 선투입이 많아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비중이높고 공사기간이 길어 현금흐름이 다른 산업에 비해 늦기 때문에고금리하에서는 매우 취약한 재무구조를 가지고 있다.둘째, 국내건설업 면허의 경우 연중으로 발급해주고 있어 건설업체수가 과거에 비해 2배 이상 급증했으나 SOC투자 등 정부예산은 오히려 전년보다 0.8% 감소했다. 이에 따라 공공공사 수주를 위한 경쟁이 격화, 덤핑입찰이 재현되면서 수지가 악화되고 있다.셋째, 경기침체로 인한 시설투자 부진과 실업증가로 인한 개인소득의 감소로 주택을 포함한 민간건설부문의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다.작년 1월의 10만7천6백가구를 정점으로 감소하던 주택미분양수는지난 4월말 현재 10만1천7백99가구로 IMF 체제 이후 다시 증가하고있다. 선투입된 자금이 묶여버린 건설사들로서는 자금난이 더욱 가속될 수밖에 없다.넷째, 주요 건자재가격이 30% 이상 인상되어 공사원가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인건비가 30% 이상 감소했다고는 하나 건설사의 매출원가율은 오히려 1~2% 증가했다.그렇다면 내년에는 건설경기가 회복될 것인가. 건설경기를 가늠하는 건설관련 선행지수를 살펴보면 현재의 상황은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는 판단이다. 건축허가면적의 경우 올들어 전년동월대비 감소세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1월에 -16.8%, 2월 -7.3%, 3월 -38.6%,4월 -58.1%로 집계됐다. 특히 4월의 감소율은 사상최대치다. 부문별로는 상업용과 공업용 건설허가면적이 각각 -70.3%와 -69.5%를기록했으며 주거용도 -52.6%를 나타냈다.건설공사계약액도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월에는 -19.2%, 2월-19.9%, 3월 -29.6%, 4월에는 -58.6%를 기록했다. 4월의 공사수주규모 감소율은 건설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래 처음이다.이들 선행지표의 수치가 약 6~12개월의 시차를 보인다는 특성을 감안할 때 올 하반기와 내년의 건설경기는 현재보다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올해초부터 대부분의 건설업체들은 「수면 아래에서 숨을 죽이고있다」라는 표현을 자주 쓸 정도로 자금의 선투입이 요구되는 신규민간공사에 대한 참여를 피하고 있다. 즉 자금의 지출을 최소화하면서 현재의 난관을 극복하겠다는 전략이다. 이같은 전략으로 인해주택사업은 극히 부진한 상태다. 올초부터 6월까지 주택공급수는13만가구로 잡혀있으나 실질적으로는 10만가구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작년 상반기에 공급된 28만가구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정부의 「주택산업 부양책」발표에도 불구하고 주택거래도 여전히부진한 상태다. 기업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는 올 하반기에는 실업률이 현재보다 더 늘어나 부동산 경기침체는 내년까지 이어지면서건설업체의 부도도 더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다.현재 국내건설산업은 이미 자생력을 잃어가고 있다. 그렇다고 국가의 기본산업인 건설산업을 붕괴시킬 수는 없는 것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이 요구되며 그 시기 또한 더 이상 늦추어서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