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전 혹은 사이버 전쟁이란 용어 자체가 미국에 나왔을 정도로미국은 사이버 전쟁분야를 주도하고 있다. 정보전이라는 용어는 92년 겨울 미 국방부 문서에서 사용했지만 이미 90년 걸프전 때 정보전이란 개념을 전장에 적용했다.96년에는 클린턴대통령의 지시로 정보전쟁에 관한 특별위원회(PCCIP;President’s Commission on Critical InfrastructureProtection)를 구성했다. 이 위원회는 국가기반구조 특히 정보통신기반을 보호하는 것은 국가 최우선과제로 수행하게 돼 있다.미국에는 사이버 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기관을 설립했다.컴퓨터수사및 기반구조위협평가본부(CITA;Computer Investigationand Infrastructure Threat Assessment), 국가기반구조보호센터(NIPC;National Infrastructure Protection Center), 중요기반구조보장국(CIAO;Critical Infrastructure Assurance Office)등이 대표적이다. CITA의 경우 올해 예산이 1천1백84만달러가 배정됐고 NIPC는내년도 예산을 1천40만달러나 증액할 전망이다. 지난 5월 발표된대통령결정지시(PDD63;Presidential Decision Directive 63)는 정보기반구조를 보호할 세부적인 정책이 담겨 있다.그러나 미국이 쥐고 있는 사이버 전쟁의 주도권은 단지 미국 정부가 관련예산을 늘리고 기구를 신설하는데 있지 않다. 정보산업 각분야에서 표준을 장악하고 있는 기술력에 있다. PC의 운영체제인윈도, 중대형컴퓨터의 운영체제인 유닉스, 인터넷 검색도구인 웹브라우저, 암호 알고리즘 등 거의 모든 기술의 표준이 미국에서 나오고 있다.미국 정부가 극비리에 추진해야 할 정보전에 관한 내용을 공개하는것도 정보전을 계기로 전자상거래나 정보보안산업의 표준을 주도하겠다는 미국의 야심이 깔려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