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도 화이트칼라 근로자나 블루칼라 근로자 등과 같은 용어는 자주 들어봤을 것이다. 그러면 도대체 그레이칼라란 어떤 근로자를 지칭하는 것일까. 이 용어에 대해 살펴보기 전에 근로자를 구분했던 전통적인 방법을 한번 검토해보자. 10년전까지만 하더라도 피고용자들은 관리자와 육체 노동자라는 두 그룹으로 분명하게 분리됐고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란 바로 이들 각 그룹을 지칭했다. 이 용어들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면서 점차 화이트칼라는 사무실에 앉아서 일하는 사람이나 전문직 근로자, 대졸 근로자 등을 가리키는 말로, 블루칼라는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나 대학을 졸업하지 못한 근로자, 3D(더럽고 어렵고 위험한) 직종에 종사하는 근로자 등을 가리키는 말로 정착했다.그러나 대략 10년전부터 권한이 하부로 이양되고 다른 많은 인기있는 현대 경영 이론들이 소개되면서 관리자와 육체 노동자에 대한 경계가 희미해지기 시작했다. 다시 말해 「나는 관리하는 사람」「너는 일하는 사람」이라는 식의 직책 구분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게 됐다. 시간이 갈수록 더욱 분명해지고 있는 사실은 우수한 관리자가 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직접 일해본 경험이 있어 일선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블루칼라에 속하는 사람들의 경우 노동 생산성을 증대시키기를 원한다면 과거처럼 「기계」처럼 일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가 하는 일을 제대로 이해하고 무조건 열심히 일하기 보다는 현명하게 일할 수 있도록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경쟁이 글로벌화되고 기술이 급진전되면서 나타난 여러가지 추세들도 근로자를 구분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화이트칼라가 간접비를 늘리는 짐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비효율적인 간접비 상승은 경영에 부담이 된다.△ 화이트칼라가 수행해왔던 업무와 기능들의 상당 부분이 점차 사무 컴퓨터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공장 운영이 점점 더 첨단화되면서 교육 수준이 높고 두뇌가 우수한 블루칼라가 늘어나고 있다.△ 오늘날의 공장 환경은 더 많은 엔지니어들을 필요로 하며 상품의 질은 본부에 의해 결정된다기 보다 생산 현장에서 문제를 빨리 감지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가진 이들 엔지니어들에 의해 좌우되고 있다.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에 근로 부문에서 나타난 새로운 경향은 경영 전문가들이 지적하듯 그레이칼라의 탄생이다. 그레이칼라란 공장 운영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엔지니어나 화이트칼라 혹은 공장에서 일하지만 본부 상황을 잘 알고 있는 근로자들을 의미한다. 최근 A.T. 커니가 제조업체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요소에 대해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그레이칼라의 존재 여부가 경쟁 우위 확보에 기여하는 두번째 요소로 나타났다. 첫번째 요소는 구매 관련 경쟁력으로 조사됐다. 뛰어난 경쟁력을 자랑하는 선진 기업의 경우 50%이상의 근로자가 그레이칼라에 속해 있는 반면 후발업체의 경우 그레이칼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능력을 보유하고 효율적으로 게획을 수립할 수 있는 그레이칼라 근로자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증명된 것이다.국내에도 그레이칼라는 존재하지만 아직 사회적으로는 최고 경영자가 관심을 쏟을만한 중요한 경영 문제는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또 그레이칼라 근로자들은 보통 공장에서 경력을 마치는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그레이칼라는 현대 경영에서 핵심적인 성공 요소이며 경쟁 우위 확보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In the past we heard terms such as white collar and blue collar workforce, but what is the grey collar workforce? Before we delve into this terminology further, let? review the traditional workforce segments. Even up to 10 years ago the management and factory workers in the past are identified as two distinctive categories of workers, and often the white collar and blue collar terms represented exactly these two types of workers. As terms evolved we began to associate such images as office workers, professionals, college graduates, desk jobs with white collars, whereas the factory based workers, non-college graduates, 3D(Dirty, Difficult, Dangerous) job categories, etc with blue collar workers.However, about 10 years ago as the manage-ment and workers job descriptions started to become blurry as a result of empowerment and other popular modern management theories, it became clear that no longer there could be ? manage' and you work type of workforces. What became even more so evident is that in order to become a better manager one needs to have a direct line and field experience to truly understand the working level people? mindset. On the other hand, if you really want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s a blue collar workforce, you can no longer have a 'machine-like' mindset and attitude. You have to understand and focus your efforts to work smarter, but not necessarily harder.With global competition and advance in tech-nology, other trends started to reshape the boundaries as well:△ White collar workforce began to be viewed as simply an overhead. An inefficient overhead is a bad thing.△ Many of the functions and tasks performed by the white collar workforce were replaced by office computing.△ As the factories themselves became much more sophisticated, the blue collar workforce became smarter and more educated.△ More engineers are required in today? factory environment and often the quality of products are deter-mined by these people? ability to detect and solve the problems in field, not at headquartersThe end result is that we now have what some manage-ment experts called 'Grey collar' work-force. These are engi-neers or traditional white collar workforce who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factory operations, and vice versa. According to the recent A.T. Kearney? worldwide benchmarking study on what makes the manufacturing companies competitive, we found having the grey collar workforce to be the number two reason. Number one being the sourcing competency. The best practices tend to have over 50% of the workforce fall into this category whereas the laggards have near zero.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grey collar who have practical 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who are doing efficiently in planning contribute to increasing productivity.In Korea, the grey collar workers do exist, but in a social scale they are not viewed as the top management materials and often end up spen-ding their lives at the plant setting. Grey work-force in the modern management is the key to success and they are becoming the competitive edg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