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5월 백화점들은 ‘감사의 선물 상품전’을 대대적으로 펼친다. 어버이날과 스승의날을 맞아 선물을 구입하려는 고객들이 많아서다. 올해 5월 백화점들의 선물상품목록에는 ‘전동칫솔’이 핸드백과 만년필, 고급위스키 등과 나란히 자리잡고 있었다.최근 까르푸나 홈플러스 등 할인점의 칫솔제품 코너에 가보면 예전과 다른 모습이 포착된다. 눈치 빠른 소비자라면 전동칫솔의 진열이 전체 칫솔의 20~30%를 넘어섰다는 것을 한눈에 알아챘을 것이다.1만원 이하 저가가 기폭제실제로 전동칫솔의 판매량은 해마다 늘고 있다. 업계관계자들은 일반 칫솔 시장을 연 1,000억원, 전동칫솔 시장은 연 125억~500억원 규모로 보고 있다.전동칫솔 시장이 최근 급성장한 뉴비즈인 까닭에 규모를 정확히 집계한 자료가 없다. 이런 이유로 업체에 따라 추정한 전동칫솔 시장의 크기에 차이가 있다.지난 4월 전동칫솔 ‘크레스트 스핀브러쉬’를 출시한 한국P&G는 “한 달 만에 1분기 예상 매출액을 뛰어넘었다”며 “물량이 바닥나 못팔 정도여서 4~6월 목표치를 2배 이상 늘렸고 주문량도 조정했다”고 밝혔다. 한국P&G는 현재의 성장세가 이어지면, 올해 말에는 전동칫솔시장 규모가 지난해 대비 2배 이상 커져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지난 1월 ‘메디안 전동칫솔’을 출시하며 전동칫솔시장에 진출한 태평양도 폭발적인 반응에 놀라고 있다. 현재까지 판매가 기준 50억원의 매출액을 올렸다. 3월까지 제품이 품절 상태였고, 목표치를 상향 조정한 4월이 돼서야 물량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었다는 것.안현 메디안 브랜드 프로듀서는 “메디안 전동칫솔은 본체가 9,500원으로 저렴하게 출시됐다”면서 “할인점은 물론이고 슈퍼마켓에서도 구입할 수 있도록 전동칫솔의 유통경로를 확대한 게 인기 비결”이라고 덧붙였다.태평양은 올해 전체 칫솔시장의 20% 이상을 전동칫솔이 점유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내년에는 전동칫솔의 시장점유율이 30%, 2005년에는 50%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20만원대 고가 충전식 매출 승승장구국내 최초의 건전지식 전동칫솔인 ‘오랄-B’를 지난해 5월 내놓은 질레트코리아는 올해 1~5월 70%의 전동칫솔 누적 성장률을 보였다.브라운(Braun)의 ‘오랄-B’ 브랜드를 맡고 있는 고희경 질레트코리아 마케팅 차장은 “10만~30만원의 충전식 전동칫솔은 고가인 까닭에 매출규모가 크다”며 “지난해 브라운 전동칫솔의 매출액만 400억원 이상”이라고 말했다.소형가전제품으로 분류돼 백화점 매장에서 구입할 수 있는 충전식 전동칫솔은 질레트코리아의 브라운과 필립스코리아, 내쇼날코리아 등에서 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고희경 차장은 “충전식 전동칫솔시장은 브라운이 75%, 필립스가 15~16%, 내쇼날이 10%를 점유하고 있다”고 했다.충전식이 배터리 방식보다 최고 40~50배까지 비싼 이유는 뭘까. 다양한 기능이 가미돼 있어서다. 칫솔의 회전속도와 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타이머 기능도 부착돼 있다. 분당 5,000~6,000회 회전하는 배터리형 칫솔에 비해 충전식은 분당 최고 9,600회까지 회전한다.전동칫솔세트에는 물통 형태의 ‘구강세정기’까지 포함돼 있다. 미세공기방울이 물과 함께 치아에 분사되는 ‘구강세정기’는 브라운 제품의 경우 23만9,000원이다. 가격이 높게 책정돼 있으므로 붐을 타면 매출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는 얘기다.해외의 전동칫솔 판매추이로도 국내 전동칫솔 비즈니스의 성장속도를 가늠할 수 있다. 2002년 리서치회사 TNS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99년 이후 3년 동안 미국의 전동칫솔시장은 294% 성장했다.99년 전동칫솔이 칫솔시장에서 34.4%, 일반 칫솔이 65.6%를 차지했던 반면, 2002년에는 전동칫솔이 시장의 반을 넘어 57.9%, 일반 칫솔이 42.1%를 점유했다고 조사됐다. TNS는 지난해 미국 전동칫솔 전체 판매액 중 건전지식 30.3%, 충전식 34.4%, 리필용품은 35.3%를 차지했다는 자료도 덧붙였다.일본도 전동칫솔 성장의 선례가 된다. 일본 전동칫솔시장의 성장률은 2001년에 전년 대비 117%, 2002년에는 215% 성장했다.지각변동 과정에 놓여 있는 국내 전동칫솔시장. 5만~30만원의 고가형 충전식 전동칫솔시장에서는 브라운과 필립스, 내쇼날 등이 각축을 벌이고 있다. 또 1만~2만원대의 건전지식 시장은 콜게이트의 ‘엑티브러쉬’, 브라운의 ‘오랄-B’, 클리오의 ‘넥스트’가 점유율 확대를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올해 출시된 한국P&G ‘크레스트 스핀브러쉬’ 태평양의 ‘메디안’ 등 1만원 미만의 건전지식 전동칫솔의 경쟁도 치열하다. 최후의 승자는 누가될지 관심이 집중된다.INTERVIEW / 이수경 한국P&G 마케팅 상무“1년치 목표 2개월 만에 달성했지요”“지난 4월 ‘크레스트 스핀브러쉬’ 출시 후 50일 만에 50만개를 판매해 35억원의 매출을 올렸죠.”이수경 한국P&G 마케팅 상무(37)는 “1년 목표치를 두 달 만에 달성했다”며 전동칫솔시장이 가속도를 내며 확대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출시 전에는 두 달 동안 8만~9만개가 팔릴 것으로 예상했던 것. 이상무는 기존 1만~30만원선이던 전동칫솔의 가격을 낮춘 것을 성공비결중 하나로 꼽았다.“크레스트 스핀브러쉬의 소비자가격은 6,900원입니다. 뛰어난 가격경쟁력을 지니고 있지요. 스핀브러쉬의 몸체는 계속 쓰고 2개에 6,900원인 칫솔모만 리필하면 됩니다. 칫솔모의 교환시기를 고려하면 스핀브러쉬의 연간 구입비용과 4,000원 수준의 고급형 일반 칫솔의 구입비용이 비슷하게 계산될 정도입니다.”P&G가 전세계에 공급망을 갖춘 글로벌 기업인 덕분에 전동칫솔의 가격을 대폭 낮출 수 있었다고 한다. 대규모 생산과 공급이 가능,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었다는 얘기다.스핀브러쉬의 또 다른 강점으로 이상무는 ‘성능’을 든다.회전 칫솔모와 고정 칫솔모가 결합된 디자인으로 전동칫솔과 일반 칫솔의 장점을 결합시켰다는 것. 미국P&G 연구개발(R&D)센터의 수십명에 이르는 연구원이 스핀브러쉬를 탄생시켰다.한국P&G에서도 공학박사 등 8명의 연구원으로 구성된 과학기술부가 개발을 맡고 있다.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궈낸 성능과 저렴한 가격 덕분에 99년 미국에서 출시된 후 출시 18개월 만에 일반 칫솔을 포함한 전체 칫솔시장에서 매출 1위를 차지했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 지난해 3월 스핀브러쉬 출시 후 1년 만에 전동칫솔시장에서 1위에 올라서기도 했다.이상무는 “전동칫솔 제품을 시장에 내놓으려는 여러 기업들의 움직임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경쟁업체가 증가하는 만큼 ‘전동칫솔시장의 파이’도 커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전동칫솔에 대한 고객의 관심이 높아지고, 일반 칫솔에서 전동칫솔 사용으로 소비자의 습관이 바뀔 것을 기대하고 있다는 것이다.“연예인 홍보대사 활용과 타깃 마케팅, 매장 프로모션 등 브랜드 인지도와 매출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마케팅을 선보일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