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리포트]

우리금융그룹이 23년 만에 ‘완전 민영화’에 성공했다. 정부 소유의 금융사라는 디스카운트 요인이 사라진 셈이다. 우리금융이 완전 민영화로 KB‧신한‧하나금융 등 경쟁자들과 격차를 좁히고 리딩 금융 그룹으로 도약할 수 있을까.
2019년 우리금융지주 출범식 모습. 사진=한국경제신문
2019년 우리금융지주 출범식 모습. 사진=한국경제신문
우리은행은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등 부실 은행이 ‘한빛은행’으로 합병하면서 출범했다. 이후 평화·경남·광주은행, 하나로종금 등이 편입하면서 우리금융지주가 됐고, 이 과정에서 공적자금 12조7633억원이 투입됐다.

정부는 2004년부터 4차례의 블록세일(지분 대량 분산 매각)과 공모 등을 통해 꾸준히 보유 지분을 매각했다. 2010년부터는 공적 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지분을 한꺼번에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하지만 번번이 무산됐다. 입찰에 참여한 금융사들이 제대로 자격을 갖추지 못했거나 경영권 인수 의사가 없는 소수 지분 입찰자들이 다수 참여했기 때문이다.

잇단 매각 실패에 따라 금융위원회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2013년 우리금융의 14개 자회사를 지방은행·증권·우리은행 계열로 분리해 팔았다. 이 기간 동안 우리은행은 지주회사 체제로 바꿨다가 다시 은행 체제로 전환하기도 했다.

2015년 예금보험공사 지분을 쪼개 분산 매각하는 방식을 도입하면서 이듬해 예금보험공사가 갖고 있던 우리은행 지분의 상당 부분(지분율 29.7%)을 동양생명과 미래에셋자산운용 등 7개 투자자에 매각했다.

우리금융이 지주회사 체제로 다시 출범한 2019년 정부는 잔여 지분을 매각하기로 발표했고 올해 하반기 매각 공고를 내면서 우리금융이 완전한 민영화를 이루게 됐다.
그래픽=배자영 기자
그래픽=배자영 기자
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