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사업 늘리는 대기업 81.4%
주요 과제는 환경…탄소배출량 감축이 우선 과제

4400억원 규모 친환경 설비 투자 유치한 현대제철.사진 제공=현대제철
4400억원 규모 친환경 설비 투자 유치한 현대제철.사진 제공=현대제철
대기업 10곳 중 8곳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관련 사업 예산과 인력을 더 늘릴 전망이다. 올해도 기업들의 주요 과제는 탄소 배출량 감소를 비롯한 환경 문제 해결이었다.

8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매출액 상위 300대 기업의 ESG 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 86개사 중 81.4%가 지난해 대비 올해 ESG 사업 규모를 늘릴 예정이라고 답했다. ESG 사업 규모를 전년 수준으로 유지하는 기업은 18.6%였으며 사업규모를 줄이겠다는 기업은 없었다.

응답 기업 중 ESG 위원회를 설치한 기업은 88.4%였다. 세부적으로는 ‘이미 설치한 기업’(64.0%)과 ‘설치할 예정인 기업’(24.4%)으로 나뉘었다. 또한 응답기업의 82.6%는 ‘ESG 전담부서를 이미 운영하고 있거나’(71.0%), ‘설치예정’(11.6%)이라고 응답했다.

한편 실제 ESG 전문인력 확보에는 많은 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ESG 전담부서 구성원의 업무 경력 기간이 5년 이하인 기업의 비중이 93.3%를 기록했고, 이와 관련한 ESG 경영 애로 요인으로는 ‘ESG에 대한 전문성 부족’(37.6%)과 ‘전문인력 미비’(10.8%)가 절반에 가까운 48.4%를 차지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 지난해 말부터 삼성, 현대차, SK, LG 등 주요 그룹에서는 ESG 전략·공시, 환경 분야 전문인력 채용이 이어지고 있다.
ESG 사업 규모와 구성원 업무 경력 표.자료=전경련
ESG 사업 규모와 구성원 업무 경력 표.자료=전경련
올해도 주요 과제는 환경

ESG 요소 중 가장 중요한 해결과제로는 ‘환경’(67.4%)이 꼽혔다. 이어 ‘사회’(18.6%), ‘지배구조’(14.0%) 순이었다. 환경분야 최우선 과제는 ‘탄소배출량 감축’(37.1%)이 차지했다, ‘신재생에너지 활용’(23.0%), ‘친환경 기술개발’(13.5%) 등도 주요 과제로 꼽혔다. 실제로 이와 관련한 대규모 투자계획 발표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현대제철은 4400억 원 규모 친환경 설비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한화건설은 2030년까지 2GW 규모 이상의 풍력사업 개발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사회 분야 우선 과제는 ‘사업장 안전 ·보건 관리’(35.6%)를 필두로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22.0%), ‘인권경영’(12.7%), ‘노사관계’(8.3%) 등의 과제가 거론됐다. 롯데케미칼은 안전·환경 부문에 총 5000억원을 투자하며 집중관리에 나선다. LG화학은 전 사업장을 대상으로 안전·환경 분야 관리체계를 글로벌 수준으로 맞추는 매그놀리아 프로젝트를 실시한다.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에도 적극적이다. 협력사에 ESG 컨설팅 등 ESG 리스크 관리 지원을 실행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82.6%가 ‘이미 시행하고 있거나’(40.7%), ‘시행할 예정’(41.9%)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에 대기업이 적극 나서다가 자칫 갑질논란과 같은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어 조심스럽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국회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감세·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39.3%), ‘ESG 관련 규제 완화’(26.6%), ‘자금조달 등 금융지원 확대’(17.9%) 등이 거론됐다.

조수빈 기자 subin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