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하지 않으면 실물경제도 리스크

강연 이후 패널 토론을 진행하고 있는 좌측부터 한상엽 소풍벤처스 대표, 홍경희 아코플레닝 상무, 강윤지 (재)아셈중소기업친환경혁신센터(ASEIC) 팀장, 임재웅 BNZ파트너스 대표.사진=소풍벤처스 제공
강연 이후 패널 토론을 진행하고 있는 좌측부터 한상엽 소풍벤처스 대표, 홍경희 아코플레닝 상무, 강윤지 (재)아셈중소기업친환경혁신센터(ASEIC) 팀장, 임재웅 BNZ파트너스 대표.사진=소풍벤처스 제공
임팩트 투자사 소풍벤처스가 8월 30일 BNZ파트너스와 함께 <글로벌 기후공시 트렌드와 탄소배출량 측정> 세미나를 개최했다. 지난 4월 기후테크 분야의 스타트업 투자를 위한 100억원 규모의 ‘임팩트 피크닉 투자조합’을 결성한 이후 꾸준히 네트워킹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이날 세미나에는 임대웅 BNZ파트너스 대표와 강윤지 (재)아셈중소기업친환경혁신센터(ASEIC) 팀장, 홍경희 아코플레닝 상무가 참여해 탄소배출량 측정과 기후 공시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임대웅 대표는 글로벌 기후공시 트렌드에 따라 기후변화를 리스크 관점에서 볼 때와 기회의 입장에서 볼 때 기업들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뤘다. 녹색금융협의체(NGFS)는 실제로 기후변화의 물리적 리스크, 이행리스크가 GDP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국제결제은행(BIS) 역시 기후변화 리스크가 실물경제로 전파되면 금융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다만 녹색금융의 성장과 함께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는 창구가 되기도 한다.

이처럼 기후 대응은 리스크와 기회가 공존한다. 위험 관리 강화를 위한 기업의 정책적인 대응책으로는 TCFD 대응, 금융감독 선대응, 기후재무공시 의무화, 탄소배출량 스코프 관리, SBTi 기반 탄소중립 목표 수립 등이 강조됐다. 녹색금융 강화를 위해서는 K-택소노미 기반 녹색 투자 및 금융 서비스 강화, 기후기술 기반 투자 생태계 조성, 택소노미 기반 그린 비즈니스 여부 공시 등이 꼽혔다.

임 대표는 “기후변화는 더 이상 환경의 문제만은 아니다. 넷제로를 넘어선 대응과 택소노미, TCFD, ISSB와 같은 공시 기준에 맞춰 기업의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지난 8월 30일 소풍벤처스가 개최한 글로벌 기후공시 트렌드와 탄소배출량 측정 세미나.사진=소풍벤처스 제공
지난 8월 30일 소풍벤처스가 개최한 글로벌 기후공시 트렌드와 탄소배출량 측정 세미나.사진=소풍벤처스 제공
중소기업은 데이터 확보부터 차근히

아셈중소기업친환경혁신센터(ASEIC)는 중소기업의 활용도에 맞춰 최근 탄소배출 가이드라인을 개발했다.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배출량 산정 방법론 및 중소기업 대상 국제 탄소중립 이니셔티브 (SME Climate Hub, SBTi 등) 등을 참고해 중소기업에 적용 가능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범위, 방법론을 선별한 것이다. ‘사업장 내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시스템 경계 설정-배출원 카테고리 분류-배출원별 활동자료수집-온실가스 배출량 선정’이 세부적인 과정으로 소개됐다. 엑셀 툴을 통해 자신의 사업장에 맞는 현황 점검과 예상 감축량을 통해 방법론의 방향을 정할 수 있다

강윤지 팀장은 “실제로 현장 진단을 나가보면 대부분의 기업이 공시를 부담스러워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데이터 확보 측면에서 어려움을 많이 느낀다. 결국 기회보다는 비용 측면의 인식이 큰 듯하다. 스타트업과 중소벤처기업은 비즈니스 모델이 유연한 편이기 때문에 변화 대처도 빠르다. 이는 스타트업이 가지고 있는 경쟁력이자 강점이니 그 부분을 잘 활용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는 스타트업의 탄소배출량 측정 사례를 만들어낸 아코플레닝의 홍경희 상무가 발표를 맡았다. 아코플레닝은 산업폐기물을 건식 재생 기술을 활용해 재생가죽 제품으로 만드는 친환경 소재회사다. 물을 쓰지 않고, 화학처리를 하지 않아 재생뿐만 아니라 재재생도 가능하다. 아코플레닝의 탄소배출량 산정법은 제품 탄소 발자국 계산에서부터 시작한다. 이후 매월 사용 에너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해 감축 목표를 설정했다.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그다음으로 마련했다.

지속가능한 패션에 대한 여러 어젠다가 등장하면서 공급망 내 협업을 요구하는 글로벌 동향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한 셈이다. 홍 상무는 “누가 더 빨리 가느냐의 문제지, 하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나라 제품이나 서비스가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각 기업과 기관들의 참여가 먼저 보장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 월간 클라이밋 프로그램은 9월 7일에 진행될 예정이다. 주제는 동남아 기후테크 트렌드로 Tien Nguyen(띠엔 응웬) Earth VC 대표 파트너가 연사로 참여할 예정이다.

조수빈 기자 subin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