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환 KB증권 연구원은 12일 여행객 증가에 따른 호텔 산업의 단기 수혜가 예상된다고 분석하면서 최선호주로 하얏트와 메리어트, 윈덤 호텔&리조트를 꼽았다.
호텔 산업이 다시 주목받는 배경에는 최근 미국 공항 보안검색대 통과 인원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기 때문이다.
미국 TSA (Transportation Security Administration, 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교통안정청)에 따르면 미국 내 공항 보안검색대 통과 인원은 8월 일평균 219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8월 당시 240만명과 비슷한 수준이다. 미국 내 코로나 방역지침이 완화되고 확진자도 고점대비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데다 보복적 소비와 여름 성수기가 겹치며 여행 수요가 함께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미국의 4~5월 평균 호텔 숙박료는 전년 대비 33%나 증가하면서 영업 마진 상승이 기대된다. 트리바고 호텔 인덱스에 따르면 샌프란시스코의 6월 숙박비는 하루 평균 287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68.5%가 올랐고, 뉴욕은 393달러로 같은 기간 92.1%가 뛰었다. 시카고도 361달러로 전년대비 93.6%가 상승했다.
이는 보복적 소비로 여행수요가 높아진 상황에서 인플레이션 상황까지 겹치면서 높은 숙박료 상향은 호텔 기업들의 매출 마진 상승에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로써 주요 호텔 기업들의 주당순이익은 올해 적자에서 흑자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 연구원은 "하얏트 호텔은 올해 2분기에 기록적인 수준의 여행수요를 기록했다"며 "코로나19 이전 수준보다 매출은 19% 더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하얏트 호텔은 여행객들의 객실 매출이 전체의 54%를 차지했고, 평균 숙박비는 하루 198달러로 경영 및 프랜차이즈 매출은 2억 달러 이상 발생했다.
힐튼 호텔의 경우 코로나 19로 매출총이익률이 2020년 2분기 -30%까지 하락했지만 올해 2분기에 이전 수준을 넘어서는 31.6%를 기록했다.
메리어트 호텔의 2분기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70%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메리어트는 현재 레저와 숙박 산업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에어비앤비와 하얏트 호텔, 호스트 호텔은 적자에서 흑자전환이 예상되며 내년 주당순이익 예상이 전년 대비 가장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미경 기자 esit917@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