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비즈니스, '2022 넥스트 아이디어 포럼' 개최
안주연 정신의학과 전문의, 허태균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 참여
"한국의 사회 문화는 집단주의도 개인주의도 아닌 '관계주의'다. 관계주의 사회에서 '소통'은 생존의 수단이자 조직의 동력이다"(허태균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
9월 30일 한경비즈니스는 서울 중구 청파로 한국경제신문사 3층 한경아카데미에서 '심리학으로 풀어보는 커뮤니케이션의 비밀'을 주제로 '2022 넥스트 아이디어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는 안주연 정신의학과 전문의와 허태균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가 연사로 참여했다.
세션은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측면을 모두 살피며 사람들의 마음을 다독여주는 안주연 전문의의 '직장인을 위한 공감과 위로의 심리학'과 '관계주의'라는 한국인들의 행동 속에 숨겨진 심리를 바탕으로 한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설명하는 허태균 교수의 '사회심리학으로 풀어보는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등 2개로 나눠서 진행됐다.
첫 세션을 진행한 안주연 전문의는 번아웃을 겪지 않기 위한 태도와 변화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안 전문의는 "번아웃은 성공적으로 관리되지 않은 만성적 직장 스트레스로 인한 증후군인데, 3가지 증상이 있다"라며 "정서적 소진, 냉소, 직업 효능감 저하 등이다. 원인으로는 업무 과부하, 업무 자율성 부족, 충분하지 않은 보상, 사회적 지지 부족(직장 내 커뮤니티), 공정성 부족, 가치관 충돌 등 6가지가 있다. 이 중에서 사회적 지지 부족과 가치관 충돌에 대해 토론해보려고 한다"고 운을 뗐다.
이어 "우리는 도파민 중심(보상, 효능감 추구)의 삶이 아닌 '세로토닌, 옥시토신'을 생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라며 "세로토닌은 기분·수면·식욕·소화·학습능력 및 기억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고 소화기관에서 생성한다. 옥시토신은 흔히 사랑, 접촉의 호르몬이라 부른다. 상대방에 대한 유대감·신뢰·배려심을 갖게 한다. 건강과 활력과 리듬을 되찾고 인간적 접촉을 통해 지속가능한 일과 삶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조직 변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안 전문의는 "기존의 평가제도를 바꿔야 한다"라며 "개인 성과 위주에서 팀 성과 중심으로 가야 한다. 의사소통에서는 업무의 목적과 가치를 먼저 공유해야 한다. 무조건 달려가는 문화를 지양하자. 워라밸을 지킬 수 있도록 업무시간을 조절해야 하고, 취미나 자기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심리상담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코로나 이전 시대에는 일에 나를 맞춘 인생을 살았다"라며 "그런데, 코로나를 겪고 나서 '이렇게 살지 않아도 되는구나'라는 걸 깨달았다. 그럼 '어떻게 살아야 할까'가 고민이 된다. 이제 일에 나를 맞추지 말고, 내가 주체적으로 일을 해야 한다. 나와 일 자체의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 소통과 조율이 필요하다. 개인의 색을 잃지 않고 지속 가능하게, 번아웃에 빠지지 않게 더 오래 일하는 방식이 필요하다"라고 마무리했다. 그 다음으로는 허태균 교수가 '한국인의 소통법'에 대해 발표했다. 허 교수는 "우리 사회는 집단주의도, 개인주의도 아니다"라며 "내적인 요인들이 자기 생각과 행동을 결정하고, 외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게 개인주의인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받는 걸 당연하게 생각하고, 그걸 좋아하고 즐기는 사람들이다. 우리나라는 절대 개인주의로 바뀌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우리나라에서 소통은 생존수단"이라며 "일을 소통으로 한다. 관계를 맺고 그 관계에서 소통을 하기에 소통이 안 되면 일 자체가 안 된다. 그게 바로 관계주의에서부터 나온다. 저 사람이 나에게 영향을 받았다는 걸 확인하는 방법이다. 어떤 소통을 원하는지 이해하고 소통 전략을 짜야 한다. 한국인의 속성을 이용하고, 이해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유근석 한국경제매거진 대표는 "2020년 코로나가 시작됐을 때 서너 달이면 끝날 거라고 생각했는데, 최근 다시 여러가지로 복잡한 상황이 됐다"며 "금융 시장이나 중국, 전쟁, 북핵 문제 등이 그것이다"라고 말했다. 유 대표는 "이런 가운데 직장인들은 심리적으로 불안한 것들이 많아질 수 밖에 없어 심리학 전문가를 모셔서 강의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최수진 기자 jinny0618@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