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회사들과 구체적 해외진출 논의 중... "이익 확대한다면 주주환원 또 이어질 것"

4월 18일 카카오뱅크는 ‘2023 카카오뱅크 프레스톡’을 열고 지난해 성과와 올해 사업 계획을 밝혔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는 “카카오뱅크는 인터넷 은행 중 유일하게 IPO(기업공개)에 성공했고, 영업이익의 지속적인 안정을 기록하면서 재무 안전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카카오뱅크의 고객수 2042만명이며 수신잔액 33조1000억원, 여신잔액 27조9000억원이다. BIS비율은 36.95%라 밝혔다.
윤 대표는 ‘넘버 원 금융+생활 필수 앱’을 카카오뱅크의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고객 외연의 확장, 주택담보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의 확장을 제시했다. 또 대출 금리를 비교할 수 있는 플랫폼인 대환대출플랫폼의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외 진출에 대해서는 “카카오뱅크의 성공적인 스토리와 플랫폼 역량 때문에 몇몇 회사들이 함께 해보자는 제안을 해 왔다”며 “특히 동남아 회사들과 구체적인 이야기가 오가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4연임에 성공했지만 윤 대표는 카카오뱅크의 주가부양이라는 숙제를 안고 있다. 이에 대해 윤 대표는 “카카오뱅크가 지닌 플랫폼 파워와 은행 라이선스를 토대로 회사 가치를 높일 것”이라며 “올해 주주환원 정책을 처음으로 펼친 것처럼, 꾸준한 성장을 토대로 이익을 확대한다면 또 다시 주주환원으로 이어질 것”이라 말했다.
한편 인터넷은행의 연체율의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카카오뱅크 측은 BIS비율이 영업이익이 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기존 은행권 대비 두 배 수준으로 안전한 자본의 적정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표는 “리스크가 우려되는 곳은 대출 쪽인데 카카오뱅크의 대출 포트폴리오는 신용 대출 뿐만 아니라 담보 대출이 50%를 넘는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다”라고 말했다. 또 “인터넷은행은 중저신용자 대출이 많아 연체율이 증가하는 데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며 “대손충당금을 확보하느냐가 중요한데, 지난해 연말 결산을 통해 이미 충분한 대손충당금을 확보한 상황”이라 말했다.
이명지 기자 mjlee@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