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리스에서는 살인적인 물가에 항의하는 시위가 일어났다./AFP=연합뉴스
지난해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리스에서는 살인적인 물가에 항의하는 시위가 일어났다./AFP=연합뉴스
아르헨티나 정부가 살인적인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97%로 인상한다. 과도한 무상복지와 포퓰리즘 정책이 이 같은 결과를 초래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4월 아르헨티나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8.8% 오르며 199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인플레이션이 겉잡을 수 없이 치솟자 정부가 초강수를 두는 것이다.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15일 기준금리를 97%로 6%포인트 인상했다. 지난 3월에 한 번, 4월에는 두 번 올렸지만 치솟는 물가는 잡히지 않는 상황에 다시 한 번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아르헨티나는 코로나19 이후 국민에게 현금 지급을 포함해 각종 보조금과 복지를 늘렸고, 세금은 낮췄다. 재정 적자는 중앙은행에서 돈을 찍어내며 막았다. 시중에 막대한 돈이 풀리자 부작용으로 아르헨티나 페소 가치는 급락하고, 물가는 살인적으로 치솟았다.
한 여성이 아르헨티나 상점을 지나고 있다./AFP=연합뉴스
한 여성이 아르헨티나 상점을 지나고 있다./AFP=연합뉴스
정부 재정이 악화한 가운데, 가뭄으로 주요 곡물 생산이 크게 줄었다. 세계 주요 곡물 수출국인 아르헨티나에 60년 만에 최악의 가뭄이 닥쳤다. 역대급 가뭄으로 대두 생산량이 23년 만에 최저 수준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아르헨티나 정부가 이례적으로 무관세 식품 수입을 허용하기도 했다. 식료품을 중심으로 물가상승이 이어지고 있는 탓이다.

일각에서는 아르헨티나가 10번째 국가부도, 디폴트 상황에 직면했다고 본다. 물가와 환율 잡기에 모두 실패한 아르헨티나 정부는 달러 보유량 감소를 완화하기 위해 위안화 결제 확대에도 적극 나설 전망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정부의 금리인상과 외환개입이 상황을 더 악화 시킬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캐나다 싱크탱크 CIGI에서 근무하는 전 아르헨티나 외교관 헥터 토레스는 파이낸셜타임즈에 “아르헨티나는 이미 외환보유액이 바닥났고 IMF에 큰 빚을 지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환율을 방어하겠다는 시도는 무모한 일”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투기꾼들이 아르헨티나의 채무 불이행(디폴트)에 돈을 걸도록 유도할 뿐”이라고 덧붙였다.

김영은 기자 kye021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