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15일 이 같은 내용의 ‘한국의 사회 동향 2023’을 발표했다.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 혹은 ‘하는 것이 좋다’고 답한 여성 청년은 2008년 50% 수준에서 지난해 20대 27.5%, 30대 31.8%로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남성 청년은 70% 수준에서 20대 41.9%, 30대 48.7%로 줄어들었다.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남녀 모두 30대보다 20대의 감소 폭이 큰 것으로 집계됐다.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특히 60대 이상에서 남성 74.9%, 여성 68.7%로 50대(남 60.0%, 여 45.5%)보다도 월등히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결혼자금 부족’이 전체 1위를 차지했다. 해당 응답은 20대 32.7%, 30대 33.7%로 중장년층보다 청년층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직업, 고용 상태 불안정 등을 포함한 경제적 이유도 각각 20대 10.6%, 30대 9.1%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실제로 전체 가구소득이 2018년 4,567만 원에서 2021년 5,022만 원으로 증가한 반면, 20대 이하는 3,363만 원에서 3,114만 원으로 7.4% 감소했다.
청년층 부채보유액도 크게 증가했다. 2018년 대비 2022년 부채보유액 증가율은 20대 이하와 30대에서 두드러져, 특히 20대 이하의 부채보유액 증가율은 93.5%에 달했다. 30대는 같은 기간 8,088만 원에서 11,307만 원으로 증가해 40대 다음으로 높았다.
반면, 20~30대의 독신·동거·무자녀·비혼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증가 추세다.
독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2015년 39.1%에서 2020년 47.7%로 증가했으며, 동거 긍정 태도는 같은 기간 25.9%에서 40.6%로 늘어났다.
무자녀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20~30대는 2015년 27.7%에서 2020년 44.1%로 많이 늘어났으며, 비혼 출산에 대해서도 같은 기간 11.1%에서 20.6%로 증가했다.
김민주 기자 minjoo@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