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카드대란’ 징후가 보인다... 연체율 급등, 연체액 2조7000억 육박
카드사 연체액이 급증하고 있다. 20여 년 전 카드대란이 되풀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국내 카드사 연체액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2조7000억원에 육박했다. 2022년 3분기 1조 3398억원에 비해 53.1% 급증했다. 국내 8개 카드사 체제가 만들어진 2014년 이후 1개월 이상 연체액으로는 최대규모다.

카드사별 1개월 이상 연체액은 신한카드 5378억원, KB국민카드 3220억원, 롯데카드 3056억원 등이다. 연체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171%를 기록한 비씨카드다.

지난 해 3분기 말 카드사별 연체율은 하나카드(1.66%), 롯데카드(1.49%), 우리카드(1.36%), 신한카드 (1.35%), 국민카드(1.21%), 삼성카드(1.07%), BC카드(1.05%), 현대카드(0.62%) 순이었다.

카드사 리볼빙 잔액도 지난달 말 기준 7조 6245억 원을 돌파했다. 카드값을 상환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카드빚 ‘돌려막기’도 급증하고 있다. 기존의 카드론을 연체한 상태에서 다른 대출을 받아 갚는 사례가 커졌다. 작년 말 기준 카드론 잔액은 38조 8791억 원에 달했다 .

카드사들의 상황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부실채권’의 폭탄을 안고 있는 격이다. 지난해 3분기 국내 8개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우리·하나·비씨카드)들의 대손상각비가 3조 1545억 원을 기록하며, 2022년 동기 대비 63.8% 증가했다. 카드사들은 연체율 치솟자 재무 건전성을 위해 충당금 잔액을 늘린 것이다.

회수율이 높아 ‘정상’으로 분류되는 1개월 미만 연체액도 부실여신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1개월 미만 카드 연체액이 5961억 원에 달하며 2018년 3분기(7244억원) 이후 5년 만에 최대 규모다.

지난해 11월 29일 금융감독원은 카드사들을 대상으로 리볼빙 관련 리스크관리를 강화하라고 지도한 바 있다.


윤소희 기자 ys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