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연혜 가스공사 사장 "전직원 30년 간 무보수로 일해도 미수금 못갚아"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이 22일 "현재 미수금 규모는 전 직원이 30년간 무보수로 일해도 회수가 불가능해 마치 벼랑 끝에 선 심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세종시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최 사장은 이같이 말하면서 안정적 가스 공급을 위해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언급했다.

현재 가스공사의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은 13조5천억원에 달한다.

액화천연가스(LNG) 도입을 책임지는 가스공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초래한 국제 에너지 위기 이후 원가보다 싸게 가스를 공급해 심각한 재무 위기를 겪고 있다.

2022년 이후 가스요금이 40%가량 인상됐지만, 현재 도시가스 원가율은 여전히 80% 수준이다. 가스공사가 1억원어치 가스를 공급하면 2천만원의 손해가 난다는 뜻이다.

가스공사에 따르면 2022년 이후 국제 LNG 가격은 약 200% 상승했지만, 국내 가스요금은 약 43% 인상되는 데 그쳤다.

최 사장은 가스 요금을 올린다면 각 가정이 난방을 하지 않아 가스 사용량이 적은 여름이 적기라고 언급했다.

그는 "겨울에 사용량이 많은 수요 패턴상 요금 인상으로 인한 국민 체감도는 겨울철에 훨씬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수요가 적은 여름철에 요금을 인상하고 단계적으로 연착륙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그는 13조원대 미수금의 영향으로 가스공사가 차입 규모를 확대할 수밖에 없어 재무 안정성이 심각한 수준으로 악화했다고 밝혔다. 가스공사의 차입금은 2021년 말 26조원에서 2023년 말 39조원으로 늘었다. 같은 시기 부채비율은 379%에서 483%로 상승했다.

민수용 미수금을 1년 만에 모두 회수하려면 MJ(메가줄)당 가스 요금을 약 27원 인상해야 한다. 현재 도시가스 주택용 도매 요금은 MJ당 19.4395원이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