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105층 → 55층 설계변경
서울시, 현대차 측에 이와 관련해 협상단 꾸리라는 공문 발송
미응답시 사전협상 취소 압박

10년째 지지부진 ‘GBC 프로젝트’...서울시·현대차 갈등으로 또 ‘위기’
서울시와 현대자동차그룹이 갈등을 빚고 있다. 옛 한전 부지인 강남구 삼성동 일대에 추진하고 있는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의 설계 변경에 대해 양측의 입장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현대차그룹에 2차 사전협상에 참여할 협상단 명단을 요청하는 내용을 담은 공문을 5월 말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는 공문을 발송할 당시 2주 안에 답변을 달라고 현대차그룹에 요청했다. 기한 내 답변이 없는 경우 시는 최대 3차례까지 공문을 발송할 계획이다. 입장 굽히지 않는 양측서울시는 현대차그룹이 55층으로 GBC를 짓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재협상 없이는 당초 계획대로 105층 건물을 지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GBC의 층수와 관련해 현대차그룹은 지난 2016년 현대차그룹은 105층 규모 초고층 건물을 짓는 조건으로 용적률을 800%까지 높이고 공공기여를 완화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받기로 했다.

하지만 정의선 회장 취임 이후 현대차그룹은 층수를 55층으로 낮추고 건물 동 수를 늘리는 설계 변경을 추진했다.

지난 5월 20일에는 55층 GBC의 조감도를 공개하며 추가 협상 없이 서울시가 조속히 인허가를 해주기를 바란다고 발표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최근 동개한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 콘셉트 디자인 조감도.  층수를 55층으로 낮추고 건물 동 수를 늘리는 설계 변경을 추진했다. 사진=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그룹이 최근 동개한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 콘셉트 디자인 조감도. 층수를 55층으로 낮추고 건물 동 수를 늘리는 설계 변경을 추진했다. 사진=현대차 제공
이와 관련 서울시는 2016년 현대차그룹과의 사전협상에서 제공한 인센티브의 전제가 105층 건립이었던 만큼 건물 높이를 변경하기 위해선 사전협상부터 다시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서울시 지침에 따르면 지구단위계획 결정 고시일로부터 5년 이내에 착공 등 가시적인 사업추진이 이뤄지지 않거나 시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 공공은 이를 취소할 수 있다.

GBC 부지 도시관리계획 변경안은 2019년 6월 27일 고시됐다.

사전협상이 취소될 경우 GBC 관련 건축허가는 취소된다. 사전협상 당시 일반상업지역으로 상향됐던 사업지 용도도 기존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환원된다.

현대차그룹이 해당 부지를 활용하려면 다시 처음부터 서울시와 협상을 시작해야 하는 것이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지난 2014년 옛 한전 부지를 매입했으며 이후 10년 동안 GBC 건립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