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집 값 양극화" 서울은 상승 vs 지방은 하락
6월 둘째주 전국 아파트 값은 보합세를 보였지만 서울 아파트 값은 꾸준히 오르면서 상승 폭이 커지고 있다.

1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6월 둘째 주(10일 기준) 전국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수도권 아파트값은 전주와 마찬가지로 0.05%의 상승률을 보였다.

수도권 안에서도 특히 서울의 아파트값 상승 폭이 지난주 0.09% 이번 주 0.10%로 커졌다.

부동산원은 "전셋값 상승으로 매매가격 하락 우려가 점차 줄어들고 선호 지역·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꾸준히 유지되는 상황"이라며 "간헐적으로 상승거래가 발생한 뒤 매도호가가 상향 조정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강 이남 지역에서는 0.21%의 상승률을 기록한 서초구를 비롯해 강남구(0.14%), 송파구(0.11%) 등 강남 3구 지역이 강세를 보였다.

부동산원은 "서초구는 반포·잠원·서초동의 선호 대단지 위주로 가격이 올랐고, 강남구는 역삼·삼성동의 중소형 규모 단지 위주로, 송파구는 송파·문정동 일대의 상대적 저가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고 전했다.

한강 이북 지역에서는 성동구(0.26%), 광진구(0.15%), 동대문구(0.14%), 서대문구(0.14%), 마포구(0.14%) 등의 오름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반면 지방 아파트값은 지난주 0.02% 하락한 데 이어 이번 주 0.05% 내리면서 하락 폭이 커졌다.

전북(0.02%)과 충북(0.01%)을 제외한 대구(-0.16%)와 부산(-0.08%) 세종(-0.06%) 등의 하락 폭이 컸다.

이번 주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대비 0.03% 오르면서 상승 기조를 이어갔지만, 상승 폭은 지난주(0.04%)보다 다소 줄었다.

서울은 지난주 0.10%에서 이번 주 0.12%로 상승 폭이 확대됐지만, 지방은 -0.02%에서 -0.03%로 하락 폭이 커졌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