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기득권 지키는 파업"···국민 10명 중 8명 '의료 파업' 반대
국민 10명 중 8명이 최근 의료 파업에 대해 반대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엘림넷 나우앤서베이는 최근 의료계의 파업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사회적 논란에 대해 ‘의료 대란 사태에 대한 의견 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6월 12일부터 13일 양일간 만18세 이상 전국 패널 1,03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최근 의료 파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반대한다(국민의 건강권을 침해한다)’고 응답한 비율(77.3%)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반면, ‘찬성한다(직업인으로서 의사들의 권리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은 14.8%에 불과했다.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비율은7.8%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의료 파업에 반대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0대 72.6%, 30대 73.0%, 40대 78.5%, 50대 79.6%, 60대 81.5% 등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의료 파업에 반대하는 비율도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성을 보였다.

‘의사들은 어떤 목적을 위해 파업 투쟁을 한다고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63.7%는 ‘의사들의 기득권 지키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정부의 일방적 의사결정 반대(20.3%)’, ‘의료 시스템 개선을 위한 조치(8.1%)’, ‘의대 수업의 질 저하 방지(4.1%)등 다른 원인도 나타났다.

‘의료 파업으로 본인 또는 가족이 어려움을 겪었나’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60.3%는 의료 파업으로 인해 본인 또는 가족이 어려움을 겪었다고 답변했다. 어려움을 겪은 응답자 중 가장 흔한 경험은 병원 방문 자제 또는 연기(28.8%), ‘진료 시 불편을 겪었다(26.3%)’ 등이었다. ‘응급 치료를 받지 못했다’는 응답자도 5.2%로 나타났다.

‘2025년 의대 정원 확대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46.0%는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을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의료계 의견을 반영해 조정해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 비율은 28.9%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제3의 기관이 중재하여 해결해야 한다(13.0)’는 의견도 있었다. ‘현재 의대 정원 규모 유지해야 한다(5.5%)’는 의견은 매우 낮았다.

‘의료 파업의 가장 큰 부작용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절반 이상의 응답자(58.0%)는 가장 큰 부작용은 ‘국민들의 건강권 침해'라고 응답했다. 이어 '의료 시스템의 불안정성 야기(15.4%)', ‘해결책 제시 없이 파업 강행(12.7%)’, ‘사회적 갈등 심화(8.5%), ‘의대 입시생들의 혼란 가중(2.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설문 응답자는 나우앤서베이 18세 이상 전국 패널 회원 총 1,032명(남자 600명, 여자 432명)으로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05 %p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