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연합뉴스)
'테라·루나'를 만든 권도형 씨의 테라폼랩스 초창기 개인 투자자 중 한 명이 몬테네그로 현직 총리로 드러나면서 몬테네그로가 혼돈에 빠졌다.

몬테네그로 일간지 비예스티는 18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뉴욕 남부연방법원에 제출한 테라폼랩스 관련 문서를 바탕으로 밀로코 스파이치 총리에 대한 의혹을 집중 조명했다.

SEC가 법원에 제출한 엑셀 자료에는 테라폼랩스가 설립된 2018년 4월부터 2021년 여름까지 총 81명의 초기 투자자가 기재돼 있다. 이 명단에는 스파이치 총리의 이름이 올라와 있다.

이 자료에는 법인과 개인 투자자가 구분됐는데 그는 2018년 4월 17일 개인 자격으로 75만개의 루나 코인을 1개당 10센트에 구매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지금까지 그는 테라폼랩스 초창기인 2018년 초 본인과 당시 근무하던 회사가 테라폼랩스에 7만5천달러(약 1억원)를 투자해 사기를 당했다고 주장해 왔다.

그는 2017년 3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싱가포르 펀드 회사인 다스 캐피털 SG에 몸담았다. 하지만 SEC가 법원에 증거로 제출한 엑셀 자료에는 이 회사의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시민운동단체 URA는 SEC의 자료를 통해 스파이치 총리의 거짓말이 만천하에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URA는 "본인의 개인 투자금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은 채 자신이 일하던 회사가 권도형에게 사기를 당했다고 말했다"며 "대중 앞에서 진실을 말하지 않은 것이 다시 한번 탄로났다"고 밝혔다.

스파이치 총리가 10센트에 사들인 루나 코인은 2022년 4월 한때 개당 119달러(약 16만4500원)까지 치솟았지만 이후 폭락해 불과 한 달 사이에 사실상 '휴지 조각'이 됐다.

그가 루나 코인 75만개를 최고가에 팔았다면 이론상 9천만달러(약 1244억원)에 가까운 차익을 챙길 수 있었다.

비예스티는 총리실에 '테라·루나 폭락 사태' 직전 스파이치 총리가 루나 코인을 얼마나 보유했는지 질의했으나 답변받지 못했다고 전했다. 또 그가 큰 손실을 봤다면 다른 투자자들과 마찬가지로 권씨를 사기죄로 고소했을 것이라고도 했다.

반대로 그전에 루나 코인을 팔아서 막대한 이익을 챙겼다면 탈세 의혹이 제기될 수 있고 공직자 재산 신고에서 이를 누락한 것에 대해서도 해명해야 한다고 이 매체는 지적했다.

한편, 권씨는 지난해 3월 23일 몬테네그로에서 여권 위조 혐의로 체포된 뒤 범죄인 인도 재판을 이어가면서 계속 현지에 붙잡혀 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