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손지원 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지원본부장은 국회에서 열린 ‘이공계 지원 특별법 개정 토론회’에서 이공계가 겪고 있는 위기와 활성화 방안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손 본부장은 “이공계 일자리의 현실적인 처우와 사회적 인식을 개선해 직업 매력도를 높여야 할 때”라며 “최근 10년간 해외로 유출된 국내 이공계 인재가 30만 명 이상이며 석박사급 ‘고급 인력’을 위한 양질의 국내 일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손 본부장에 따르면 1960년대 이후 한국의 고도성장을 이끌었던 이공계는 1990년대 말 IMF 위기 이후 사회문화가 완전히 격변하면서 ‘이공계 연구원은 평생직장이 못된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위기를 맞기 시작했다.
실제로 1990년까지는 전국 자연계 대학 최상위 학과를 서울대 물리학과가 차지했지만 2000년대부터는 탑5 학과를 모두 의대가 차지하고 있다.
이어 “의대 쏠림 현상이 많이 언급되고 있는데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의사 월급여는 1922만원이며 300인 이상 대기업 정규직이 584만원으로 고소득·직업 안정성이 모두 있고 ‘최고’라는 자존심과 자부심까지도 채워질 수 있다” 면서도 “우리나라 과학기술원의 이공계 인재들은 본인이 원해서 과학기술계로 왔음에도 사회적 인식 저하, 미래의 불안정성 등으로 의대로 이탈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에 저출생과 이공계 진로 기피 현상으로 인재 부족 현상은 향후 5년간 지금보다 심화 될 것으로 전망했다.
손 본부장은 “학사 이상 학위를 가진 과기분야 신규인력은 2023년 800명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는데 2028년에는 부족한 인력 규모가 이보다 60배 늘어난 4만7100명에 이를 것”이라며 “특히 이공계 석박사 과정생은 202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단언했다.
인재들의 외국행은 이공계 인력 부족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술패권 인재전쟁'으로 전략기술 분야 해외 취업이 더욱 용이해지면서 기술 선도국으로 인재들이 발걸음을 돌리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공계 인재 이탈을 막기 위해선 일자리의 질과 사회적 인식을 모두 제고해야 한다고 손 본부장은 강조했다.
그는 “인류 사회에 기여하는 연구자로서의 자긍심, 사회적 지위, 안정성, 충분한 보상 등 경제적 안정성과 더불어 직업군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