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있을 듯"vs"세금낭비" 광화문 100m 태극기 조형물 "어떻게 생각하세요?"
서울시가 100m 높이의 대형 태극기 조형물 '꺼지지 않는 불꽃' 조성 발표를 두고 논란이다.

25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제74주년 6·25를 맞아 인천상륙작전과 9·28 서울 수복 등에서 헌신한 참전용사 7명을 초청해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시는 대형 태극기 조형물 조성과 더불어 광화문광장을 시대적 가치와 미래비전을 담은 국가상징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오 시장은 "6·25 참전용사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 덕분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자유와 평화를 누릴 수 있는 것"이라며 "숭고한 뜻을 잊지 않고 기리기 위해 광화문광장에 국가상징 시설인 대형 태극기와 꺼지지 않는 불꽃을 건립해 국민 모두가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국가상징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미국 워싱턴DC 내셔널몰의 '워싱턴 모뉴먼트', 프랑스 파리 샹젤리제 거리의 '에투알 개선문', 아일랜드 더블린 오코넬 거리의 '더블린 스파이어'처럼 역사·문화·시대적 가치를 모두 갖춘 국가상징 조형물을 만들어 광화문광장을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상징성을 고스란히 간직한 국가상징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구상이다.

또 광화문광장은 경복궁을 중심으로 전통이 살아 숨 쉬는 역사적 장소이자, 세계인이 모여드는 글로벌 문화예술 중심지라며, 소통·자유·호국으로 대변되는 주체적 시민의식의 발현지로서 국가상징공간 최적지라고 시는 설명했다.

이 게양대의 높이는 100m로 주변에서 가장 높은 외교부 청사(92m)보다 높다. 태극기 크기는 가로 21m, 세로 14m이며, 게양대 아래엔 15m 높이의 전광판과 영원한 애국과 불멸을 상징하는 '꺼지지 않는 불꽃'도 설치될 예정이다.

초대형 태극기 설치 등 공간 조성에 110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계획이다.

한편 시의 발표를 접한 누리꾼들의 의견은 찬반으로 극명하게 나뉘었다. 대형 태극기 조형물 조성을 두고 찬성하는 입장은 "정치적 편파방송에 수백억 낭비하는 것보다 백배 낫다", "태극기와 애국가에 반감을 갖는 자들은 도대체 누구냐", '국기 게양식에 군악대 의장대를 동원하면 아주 폼날 듯"이라는 반응이다.

반면 반대 의견으로는 "왜 세금으로 엉뚱한 짓을 하나", "차라리 BTS 동상을 세워라", "시대 착오적인 발상, 세금 낭비 그만해라" 등이 주를 이뤘다.

한편, 이 태극기 게양대는 2025년 4월까지 기본·실시 설계 후 5월 착공할 계획이다. 국가상징공간은 2026년 2월, 세종로공원은 2026년 11월 준공 예정이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