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머스크는 “미국과 유럽이 관세가 없는 자유무역지대를 구축하기를 바란다”고 5일(현지시각)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보호 관세를 발표한지 3일 만의 발언이다.
머스크는 이날 이탈리아 극우 정당 라 리가(La Liga) 행사에서 화상 연설을 통해 “미국과 유럽이 매우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길 바란다”며 “이상적으로는 무관세 체제로 나아가 자유무역지대를 실질적으로 창출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머스크의 이날 언급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고관세 기조와 충돌하는 발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전 세계 대다수 나라의 제품에 10% 이상의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했다. EU산 제품에 대해서는 20%의 상호 관세가 책정됐다.
머스크는 앞서 이날 관세 정책의 핵심 역할을 맡고 있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을 비판하기도 했다. 한 네티즌이 엑스(X·옛 트위터)에서 네티즌이 ‘나바로는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다’고 쓰자 그는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는 좋은 게 아니라 나쁜 것”이라며 “자아(ego)가 두뇌(brains)보다 큰 문제로 귀결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다른 네티즌이 나바로를 옹호하자 머스크는 “그 사람은 아무것도 제대로 만든 게 없다(He ain't built s--t)”이라고 반박했다.
트럼프와 머스크의 분열을 짐작할 만한 일은 이뿐만이 아니다. WSJ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일 비서실장에게 “머스크를 더 잘 관리하라”고 지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고위 참모진과 내각은 머스크의 목표에는 대체로 동의하지만 방식에는 불만을 품고 있다고 밝혀진 시점이다. 머스크가 개혁 방안을 각료들과 충분히 소통하지 않고, 엑스 게시물로 협의되지 않은 계획을 공유해 행정부 위신에 타격을 준다는 것이다.
최근 트럼프가 머스크의 퇴진 시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트럼프는 “머스크는 결국 자신이 이끄는 전기차 회사 테슬라와 우주기업 스페이스X 등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조수아 인턴기자 joshua@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