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 걸려있던 봉황기(왼쪽)가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이후 대통령실 관계자들에 의해 내려지고 있다/사진=한국경제신문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 걸려있던 봉황기(왼쪽)가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이후 대통령실 관계자들에 의해 내려지고 있다/사진=한국경제신문
대통령 선거일이 6월 3일로 결정됨에 따라 대통령실 세종 이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하락세를 거듭하던 세종 부동산도 다시 꿈틀거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에게 개방된 청와대로 돌아갈 수 없고, 탄핵 정부가 썼던 용산 대통령실을 그대로 쓸 수도 없어 대통령실을 세종시로 이전하는 방안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세종시 이전은 수도권 과밀화를 해결하는 동시에 역대 대선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온 충청권 민심을 공략할 수도 있다는 이점이 있어 더욱 가능성이 높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세종시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3월 한달간 684건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386건과 비교하면 77.2% 급증했다.
1개월 전 대비 매물 감소율(4일 기준)을 보면 세종이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압도적 1위였다. 한 달 동안 매물이 1만884건에서 1만181건으로 6.5% 줄었다. 2위는 서울로, 1.7% 감소했다. 거래량이 늘고 매물이 감소하는 상승장의 전조로 분석되고 있다.

주요 단지에서는 신고가 거래도 나오고 있다. 세종시의 ‘대장 아파트’로 통하는 나성동의 나릿재마을2단지 리더스포레는 지난 3월 3일 전용 84㎡가 11억8500만원에 손바뀜하면서 신고가를 썼다. 이 단지는 2월만 하더라도 8억~9억원 수준에서 거래되다 불과 한 달 새 3억원이 넘게 뛰었다.

범야권 잠재적 대권주자 다수는 이미 대통령실 세종 이전을 언급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지난 3월 지도부 회의에서 세종 이전 가능성을 검토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는 앞선 지난 대선에서도 행정수도 명문화 개헌 추진, 대통령 세종집무실 설치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이를 강력히 주장하고 있고 보수진영에서도 이준석 의원(화성을)이 얼마 전 대전방문에서 "청와대, 여의도 국회 합친 명품 집무실을 구축해 세종시를 국민통합의 장으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해 총선과정에서 "세종시로 국회를 완전이전"을 약속하기도 했다.

다만 세종 이전이 현실화되려면 개헌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004년 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의 수도는 서울이라는 관습헌법을 이유로 ‘신행정수도 건설’을 위헌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조수아 인턴기자 joshu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