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외 없다” 트럼프 관세 정책에 글로벌 IT업계 긴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부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 논란과 관련해 “예외는 없다”며 향후 관세가 부과될 것임을 재확인했다.

최근 스마트폰과 노트북, 디스플레이 등 주요 전자기기가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됐다는 보도가 나오자,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를 정면 반박하고 나선 것이다.

1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을 통해 “누구도 불공정한 무역수지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예외 없는 조치가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블룸버그 등 외신은 미 세관국경보호국(CBP)의 문서를 인용해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이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 11일 트럼프는 “관세 예외가 발표된 적 없다”며 “이들 제품은 기존 20%의 ‘펜타닐 관세’를 그대로 적용받고 단지 다른 관세 부류로 옮겨졌을 뿐”이라고 반박했다.

이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제품들이 ‘반도체’ 항목에 포함돼 새로운 범주의 관세를 적용 받을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트럼프는 “이들 제품에 반도체가 대량 사용되기 때문에 해당 범주에 포함된다”며 “4월 5일부터 부과된 10%의 기본 관세 역시 소급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중국산 아이폰도 최대 125%의 관세 가운데 20% 수준만 우선 적용되며 이후 별도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치는 단순히 중국만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우리는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어야 하며 적대국에 인질처럼 잡혀 있어서는 안 된다”고 언급했다.

특히 한국 역시 미국의 주요 무역 적자국 중 하나로 반도체·스마트폰·노트북 등 대미 수출 품목이 다수 포함된 만큼 일정한 타격이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도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스마트폰, 컴퓨터, 평판 TV 디스플레이, 반도체 기반 저장장치 등은 향후 반도체 관세 범주에 포함될 것”이라며 “이들 제품은 국가 안보상 반드시 미국 내에서 생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