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도서관 사서직 A TO Z

[캠퍼스 잡앤조이=강홍민 기자/박희은 대학생 기자] 도서관에 가면 만나 볼 수 있는 사람이 있다. 책을 통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 바로 ‘사서’다. 한국을 대표하는 국립도서관 두 곳, 국립중앙도서관(이하 ‘국중’)과 국회도서관 사서를 만났다. 사서는 ‘대출반납 데스크’ 뒤에서 더 바쁘다고 말하는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AI가 대체할 직업? 천만의 말씀” 책 선정부터 구매, 프로그램 기획까지···도서관 사서의 세계

국회도서관 건물 사진.

국회도서관은 국회의사당 안에 위치하는 국회 소속 도서관으로, 국회 도서 및 입법 자료에 관한 업무를 처리하고 일반 이용자에게 열람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회도서관에서 사서로 근무 중인 고평진 사서를 만나봤다.

"사서, 어릴적 꿈이었는데, 꿈 이뤘죠"

국회도서관 (고평진 사서. 28세. 자료조직과)

맡고 있는 업무가 궁금하다

“국회도서관 자료조직과에 있다. 보통 사람들이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상세보기를 누르면 자료에 달린 마크를 확인할 수 있다. 그 마크를 분류 목록에 맞춰서 작성하고 책의 분류 번호를 부여하는 일을 하고 있다. 국회도서관 전개표를 사용해서 입력 한 다음 저자 전거까지 함께 한다.”

원래부터 자료 조직 업무를 희망했었나

“그렇다. 대학에 다닐 때부터 분류 목록을 좋아했다. 한번은 학교가 일이 있어서 자료 조직 과목이 네 번이 열린 적이 있다. 그때 되게 많이 배웠다. 처음에 이게 무슨 소리인가 싶었는데 한 번 익히고 나니깐, 분류만의 재미가 있었다.”

사서라는 직업을 선택하게 된 계기가 있다면

“중 3때부터 사서가 되고 싶었다. 다른 친구들과는 달리 진로가 이르게 잡혔다. 어릴 때부터 책이 좋았고 부모님이랑 도서관을 자주 다녔다. 도서관이라는 공간이 좋았다. 부모님은 인공지능에 대체될 직업이라는 얘기 때문에 사양길이라고 반대하셨다. 나는 책을 안 좋아하는 사람들한테도 다가갈 수 있는 하나의 발판이 되는 길에서 일하고 싶었다.”


사서 준비는 어떻게 했나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했다. 정사서 2급 자격증이 있고, 한국국제교류재단에서 10개월동안 글로벌 인턴쉽을 했다. 학교 다닐 때 3개월에서 6개월 정도 도서관에서 근로장학금을 받기 위해 일했다.”

사서가 AI에 대체될 거라는 말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나

“내가 하는 자료조직과 업무 같은 경우, 어떤 작가가 책을 여러 권 썼는데 이 사람이 이 책도 쓰고 다른 책도 썼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정제된 데이터를 만드는 일은 하고 있다. 이 일은 아직까지는 AI가 하기 힘들다. 여러 매체에 대한 정제화된 데이터를 만드는 게 우리의 일이고 AI가 대체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

사람들이 생각하는 사서의 일과, 실제 현장에서의 차이점을 꼽는다면

“거의 대부분 책을 많이 읽지 않는다. 또, 큰 도서관의 경우 현장에서 사서의 업무가 많이 분화돼 있다. 내가 하고 있는 일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전통적인 사서의 일이다. 다만 다른 쪽 일은 원문 구축을 하는 부서도 있고, 저자 전거 담당하는 부서도 있고. 회답 관련 부서도 있다. 국회 도서관만 해도 많은 일이 있다. 다른 도서관도 관종별로 다양한 일로 분화돼 있다. 문화행사를 기획하기도 하고,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기획하기도 한다. 사서가 전통적인 책 분류만을 담당하지는 않는다.”

다른 도서관과 다르게 국회도서관 사서만이 하는 업무가 있다면 무엇인가

“우리는 의원들이 쓰는 저서가 들어오면 ‘의원저서’라고 체크하는 란이 있다. 국회도서관은, 국중과 같이 납본도서관이다. 누구든지 도서관 자료를 만들면 도서관자료를 국중과 국회도서관에 납본해야 한다. 그러다보니 다른 도서관에 비해 다양하고 많은 자료를 다룬다.”.

사서가 직접 회답서비스도 진행한다고 들었다

“맞다. 정치행정 정보과나, 경제사회 정보과로 질의가 들어오면 여기에 맞춰 배분을 한다. 사서들이 전문 연구원과 함께 애기한다. 질의가 들어온 것과 관련한 자료를 찾아서 참고문헌을 붙이고, 원하시는 자료가 이런 게 있다고 안내해 드린다.”

국회도서관의 일을 하면서 가장 보람을 느낄 때는

“내가 직접 작업한 책들을 열람실에서 볼 때 보람을 느낀다. ‘아 저 책은, 내가 작업한 거다.’ 라는 뿌듯함. 정말 소소하다. ”

"책 선정부터 구매하고, 프로그램 기획까지···사서, 각보다 바빠요"

국립중앙도서관(송민상 사서(29세) 국가서지과)



“AI가 대체할 직업? 천만의 말씀” 책 선정부터 구매, 프로그램 기획까지···도서관 사서의 세계

△국립중앙도서관 건물 사진.


사서라는 직업을 선택하게 된 계기가 있다면

“사서가 되기로 결심한 계기는 문정과 선배들의 취업설명회였다. 다양한 직종의 선배들이 오셨는데, 유독 도서관에 근무하시는 선배님들이 눈에 띄었다. 직업에 대한 자부심, 그리고 행복감이 표정에서부터 드러났다. 무엇보다 사서가 하는 일이 공적인 일이고, 이용자인 국민을 위하는 일이라는 점이 나에게는 큰 매력이었다.”


사서 준비는 어떻게 했나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도서관에서 매년 주최하는 북페스티벌에 자원봉사자로 참여했다. 또,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대학생 실무수습을 받았다.”



“AI가 대체할 직업? 천만의 말씀” 책 선정부터 구매, 프로그램 기획까지···도서관 사서의 세계


사람들이 생각하는 사서직과, 실제 현장에서의 차이가 있나

“일반 사람들은 사서는 조용하고 책만 좋아할 것 같다고 생각한다. 혹은 대출반납 데스크에만 앉아있다고 생각한다. 실제 현장에서 사서의 업무는 그리 단순하지 않다. 공공도서관의 경우 대출 반납데스크 뒤에서 굉장히 많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책을 선정하고 구매하는 작업에서부터, 책의 주제를 판가름 하고, 어떤 책들과 같이 분류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검색을 위해 책의 정보를 목록화하는 작업을 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기획하기도 한다.”

국립중앙도서관 사서를 하면서 가장 보람을 느끼는 순간은 언제였나

“내가 제공한 서비스가 필요한 이용자에게 큰 만족감을 주었을 때다. 한번은 이용자 분께서 어떤 책을 꼭 빌려보고 싶다고 했다. 하필이면 그 책이 내부 사정으로 당일에 대출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 책을 다른 공공도서관에서 검색해보고, 그곳으로 안내해드렸다. 굉장히 기쁜 표정으로 내 손을 잡으며 고맙다고 하셨다. 그럴 때 참 뿌듯하고 보람을 크게 느낀다.”

국립중앙도서관 사서직종을 준비하는 친구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대표도서관이다. 국내에서 발행된 출판물과 각종 지식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정리하여 국민에게 서비스한다. 또한 사서 교육, 국내 공공도서관 및 해외 각국의 국립도서관과의 협력 업무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국중은 조직이 크고, 직원의 대다수가 사서직이라 서로 의견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점이 장점이다. ‘사람’을 좋아하고 ‘서비스 정신’이 있는 사람을 이 직업에 추천하고 싶다.”

khm@hankyung.com

“AI가 대체할 직업? 천만의 말씀” 책 선정부터 구매, 프로그램 기획까지···도서관 사서의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