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50+세대, 창업, 구직활동을 하는 ‘창직추구형’이 가장 많아
서울시 50+정책 수립과 사업 추진에도 반영할 것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50~64세(806명)를 대상으로 일자리, 소득, 노후 준비 등 8개 영역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이러한 생애경력 유형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 후 어떤 인생재설계를 진행하고 있는지도 조사했다. 그 결과 ‘창직추구형(64.27%)’이 가장 많았고 이어 ‘생계형(24.6%)’, ‘활동 추구형(11.4%)’ 순으로 크게 세 집단으로 나뉘었다. 50+세대 중에서는 적극적인 구직 행동을 하거나 창업․창직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직추구형의 구직 활동은 자신의 경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경제적 소득도 올릴 수 있는 새로운 일을 찾는 활동을 의미한다. 50+세대에게 창직은 자신의 경험, 기술, 능력, 흥미, 적성을 살려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창직추구형에서 사회활동을 하는 인원 중 28.5%가 서울시 및 재단에서 운영하는 사회공헌형 일자리 참여, 교육 이후의 커뮤니티 활동, 자원봉사 등을 통해 제2의 사회 활동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단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한 뒤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 분야로 창업을 한 경우는 50+세대가 기존 경력을 창직으로 연결시킨 좋은 예라고 볼 수 있다.

김영대 서울시50플러스재단 대표는 “50+세대에 꼭 필요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책 대상자인 50+세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서울시 50+정책 및 사업 수립 과정에서 50+세대 실태 조사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보다 체감도 높은 정책 수행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ubinn@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