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계열 이른바 ‘문송(문과라서 죄송합니다)전공’ 취준생들의 취업난은 올해도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문과전공자들의 지원직무가 마케팅, 영업, 홍보, 경영 등에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그나마 이웃사촌이라는 상경계열 전공자들은 금융권과 일반 경영직무에 지원할 수 있지만 인문사회계열 취준생들은 그마저도 어려워 점점 설 자리를 잃어 가고 있다.

이에 일부 문과전공자들은 대기업 입사를 포기하고 고시 및 공시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인문계는 서럽고 인문계 여자는 더 서러운 신세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대기업에 도전하고 있는 양모(27) 씨는 “요즘 친구 만나는 게 너무 힘들다”고 토로했다. 양씨는 “친구들이 하나 둘씩 취업에 성공하는 데 자신은 늘 제자리에 있다”며 “그 동안 무엇하며 살았나라는 생각을 하면 자꾸 자괴감에 빠져 심신도 지쳐가고 의지도 꺾인다”고 말했다.

올해부터 취업 준비를 하고 있는 성신여대 4학년 서 모 씨는 기업별 채용 직무를 보면 한숨부터 나온다고 투덜거렸다. 인문계열 출신 전공자들이 선택할 직무가 너무 적고 채용 인원수도 한 자릿수로 한정돼 있어 치열한 경쟁을 뚫기 어렵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서 씨는 “대기업들 사이에서 작년부터 직무중심 채용이 확산되면서 인문사회계열 전공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분야가 제한 돼 있다”며 “다른 친구들처럼 공시를 준비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여성’이라는 데 따른 성차별이 있다고 토로하는 이도 있다. 덕성여자대를 졸업한 채 모 씨는 “상경계열이 아닌 여자 취준생이 지원할 수 있는 직무는 주로 마케팅, 영업 부문인데 이마저도 ‘남자’를 선호하는 것 같다”며 “대놓고 남자만 뽑는다고 하지는 않지만 영업직은 힘든 일, 어려운 일이라는 인식 때문에 남자를 더 많이 채용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남성만큼 잘 할 수 있는데 그런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것 같다” 고 토로했다.

성차별은 문과생들의 고시격이라 할 수 있는 언론사 시험에서도 마찬가지다. 중견 언론사 간부 A 씨는 “성적으로만 뽑으면 1등부터 20등까지 여성이지만 성비를 맞추기 위해 일부러 여성을 탈락시키는 경우가 있다”고 털어놨다.

▲기승전 ‘공시’… 그나마 공공기관이 낫다?

인문·사회 비상경계열 전공자가 가장 선호하는 곳은 ‘공공기관’이다. 대기업보다 다소 공정하게 채용할 것이라는 게 그들의 관측이다.

경기권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이 모(28) 씨는 대기업의 문을 두드리다 지쳐 결국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이 씨는 “문과 전공 출신자들이 취업이 어렵다는 말을 실감하지 못했는데 막상 취업을 하려고 하니 현실은 더 심하게 느껴졌다”며 “공모전, 토익, 학점관리 등 최고 점수를 올리고도 결국 이뤄진 게 없다”며 하소연했다.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한 한모(25·여 )씨 역시 작년부터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기업만 붙잡고 입사를 기다리기에 나이만 들고 이도저도 안될 것이라는 게 이유였다.

한씨는 “인문학 자체가 취직을 위한 학문이 아니지 않느냐?”면서 “기업은 바로 일할 수 있는 인재를 원하는데 이 차이에서 '문송'이 나오는 것 같다.”고 말했다.

생활체육학과를 졸업한 이 모(28)씨도 만 2년 동안의 취준생 생활을 접고 경찰 시험 준비를 위해 노량진에 입성했다.

이 씨는 “예체능 전공자는 취업이 (문과보다) 더욱 어렵다.”면서 “가령 예체능 전공자가 정보처리기사를 취득한다고 해서 관련 직무에 입사 지원해도 노력했다는 시선 보다는 ‘다 하는 건데’ 라는 정도로만 보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