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는 2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서비스산업과 청년 일자리에 대한 토론회’를 열고, 청년들이 선호하는 서비스산업 분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번 토론회는 청년위와 한국개발연구원(KDI), 국회경제정책포럼이 공동 개최했다.


정희수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전체 실업률의 2.5배가 넘는 청년 실업을 타개하기 위해 보건, 교육, 관광 등 유망 서비스산업을 집중 육성해야 한다”며 “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과 관련 법안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준경 KDI 원장은 “규제와 기득권층의 지대추구(rent seeking)가 서비스 부문의 산업경쟁력을 빼앗아 가고 있다”며 “서비스업을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정립하고, 혁신과 규제개혁을 전략으로 성장동력을 회복해야만 청년일자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용한 대통령직속 청년위원장은 “청년이 원하는 것은 보통의 일자리가 아닌 양질의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일자리로 확인됐다”며 “2009년 이후 7대 유망서비스 산업 취업자 비중 감소세가 지속되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국회?기업?정부가 깊은 관심을 갖고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경수 KDI 산업ㆍ서비스경제연구부장은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 발전방향’ 주제발표를 통해 “청년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서비스업이 규제와 수직계열화를 벗어나 경쟁적 생태계에서 성장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 부장은 “우리나라 청년실업의 주된 원인은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점”이라며 “새로운 기업이 성장하고 쇠퇴기업이 도태하는 역동적 기업환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식집약 서비스업은 인프라와 R&D 투자, 수출 지원 등의 측면에서 생산성에 기반한 산업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주제발표에 이어 이만우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와 류장수 부경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박정수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차영환 기획재정부 성장전략기획관, 서한석 ㈜직토 CFO, 한동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해외환자유치지원단장, KDI 산업ㆍ서비스경제연구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서비스산업 육성과 청년일자리 창출’에 관한 토론회가 진행됐다.


최은석 기자 choies@hankyung.com



청년위 “청년 실업난 극복 해답은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