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항목별 톱10
*직장 내 분위기 = 대한항공
*보수 = 대림산업
*업무 전문성 = 엔씨소프트
최고야!
‘2011 인턴하기 좋은 기업(GIP)’랭킹은 인턴십을 경험한 20대들이 평가한 네 가지 항목 △직장 내 분위기 △업무 전문성 △보수 수준 △인턴사원 교육프로그램 평점의 합산을 통해 만들어졌다. 취업준비생들은 대개 기업들의 평가를 받는 입장이지만, 이번 조사에서만큼은 평가 주체가 되어 냉정하게 점수를 매겼다.
각 항목의 만점은 5.0점. 기업당 응답자는 최소 8명에서 최대 51명까지 다양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인턴십을 통해 직장 체험을 한 20대 청년들이 자신의 경험에 근거해 GWP로 손색없는 일터를 뽑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최상위인 ‘베스트 30’에 랭크된 기업들은 대한민국 20대가 직접 뽑은 ‘일하기 좋은 기업(GWP)’인 셈이다.
![[2011 인턴하기 좋은 기업]평가 항목별 톱10](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AD.25680554.1.jpg)
대한항공 2년 연속 1위
머리부터 발끝까지 긴장감 가득한 인턴사원이 처음 얼마간 어리바리한 건 당연지사. 기업 문화가 유연하고 선후배 사이가 격의 없는 직장이라면 긴장을 푸는 데 시간이 얼마 걸리지 않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실적·실력 경쟁이 지배하는 기업에선 이마저 기대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이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직장 내 분위기가 얼마나 좋은가”를 묻는 질문에 대한 전체 평가대상 기업의 평균 평점은 2.5점에 불과했다. 이는 평가 항목의 평균치 가운데 가장 낮은 점수다.
이 항목에서 대한항공은 평균 평점 4.5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놀라운 것은 지난해에도 이 항목 1위가 대한항공이었다는 점. ‘직장 내 분위기 좋은 기업’으로 2년 연속 최고 왕관을 쓴 것이다.
대한항공을 비롯한 한진그룹은 재계에서도 ‘인간적인 기업 문화’로 잘 알려져 있다. 이는 창업주인 고 조중훈 회장의 ‘기업은 곧 인간’이라는 경영 철학과 무관하지 않다.
실제로 대한항공은 다양한 복지 제도와 이벤트로 펀(Fun) 경영을 펼치고 있다. 사내 음악회, 직원 대상 공모전은 상시로 열고 있고 가족이 참여하는 각종 이벤트도 다양하다. 또 전 세계 어느 곳이나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할인항공권이 재직 중 연간 최대 35매까지 제공된다. 보육비·대학 학자금 지원을 받는 직원은 7000여 명에 달하며 건강검진, 불임치료 휴직 제도를 비롯한 여성 친화적인 복지 제도도 유명하다. 이 덕분에 지난해 7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제15회 여성주간 기념식에서 여성 지위 향상 유공 대통령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대한항공에 이어 기아자동차, GS건설, 아시아나항공, 대림산업도 비교적 높은 평점을 받아 상위에 랭크됐다.
![[2011 인턴하기 좋은 기업]평가 항목별 톱10](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AD.25680555.1.jpg)
엔씨소프트 ‘지존’
인턴사원을 뽑는 기업이 계속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 부응하기 위해서? 빈자리를 인턴사원으로 보충하기 위해서? 될 성 부른 떡잎인지 아닌지 미리 알아보고 채용하기 위해서? 아마 기업의 인사담당자라면 모든 보기에 고개를 끄덕였을 것이다. 비중의 차이가 있을 뿐 조금씩 비슷한 이유로 인턴십 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이 많기 때문.
그렇다면 정작 인턴십을 하는 20대는 인턴십에서 무슨 일을 할까. 이번 조사에서는 62.4%의 응답자가 “업무와 관련한 단순 사무보조를 했다”고 밝혔다. “업무와 관련 없는 단순 사무보조를 했다”는 대답도 12.4%나 됐다. 25%의 응답자만이 “정규직 사원과 같은 현업 업무”를 했다고 털어놓았다. 인턴십을 통해 업무 전문성을 높이기가 쉽지 않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엔씨소프트에서 인턴십을 한 이들은 “배울 게 많았다”고 입을 모으며 높은 평점을 던졌다. 만점에서 0.1점 모자라는 4.9점을 기록했다. 엔씨소프트 인턴십의 전문성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실제로 엔씨소프트는 인턴사원을 모집할 때 모집 분야와 수행할 업무, 필요 지식 및 스킬, 해당 업무에 필요한 핵심 직무역량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예컨대 ‘게임 디자인’ 분야의 경우 수행 업무는 △월드 및 퀘스트 설정 등의 다양한 콘텐츠 디자인 및 월드 레벨 디자인 △캐릭터, 스킬 시스템 등 다양한 게임 시스템 디자인 및 관련 수치 밸런싱 △게임 내 적용될 데이터 및 스크립트 등 구현 업무 △개발팀 공통 기획 업무 △선배 게임 디자이너의 업무 지원 등이다. 게임 관련 전문 업무 영역을 아우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밖에 대한항공, SK텔레콤, 하이닉스반도체 등도 업무 전문성 높은 인턴십을 운영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1 인턴하기 좋은 기업]평가 항목별 톱10](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AD.25680556.1.jpg)
대림산업·하이닉스반도체 ‘짱’
인턴사원 월급이 쥐꼬리만 하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아는 사실. 정부의 청년 인턴 지원제의 지원을 받는 경우 기업은 인턴 월급의 50%까지 보조받을 수 있지만, 후한 인심을 쓰는 곳은 많지 않다. 이번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27.8%가 “80만~100만 원의 월급을 받았다”고 대답했다. “100만 원 이상 받았다”는 이는 15%. 나머지 중에는 “80만 원 미만을 받았다”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사실 봉급 만족도는 대단히 주관적인 가치다. 업무 강도, 근무 시간과도 연관될 수밖에 없다. 조사 결과 또한 객관적인 보수 수준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다. 이 때문인지 ‘보수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는 평균 2.9점의 비교적 낮은 점수를 던졌다.
이 조사 항목에서는 대림산업, 하이닉스반도체, SK텔레콤이 수위를 차지했다. 이 기업들의 인턴사원 봉급은 120만~180만 원 선으로 알려졌다. 대부분의 대기업이 지급하는 100만~120만 원 선을 웃도는 수준이다.
반면 L, N사 등은 80만 원에도 못 미치는 월급을 지급하고 있어 최하위 점수를 받았다.
글 박수진 기자 sjpark@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