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유망 중소기업 60개사 선정, ICT·AI·바이오·헬스 등 다수 기업 분포

2022년 상반기 아기유니콘 선정 기업(60개사)
구분기업명대표자구분기업명대표자
1구루미이랑혁31엑소시스템즈이후만
2네이처모빌리티이주상32엔원테크최모성
3뉴로비스김형건33엘엔로보틱스최재순
4더플랜잇양재식34엠아이티최종명
5덴하우스권경환35엠엑스바이오이재현
6도터김형일36온다오현석
7디자이노블신기영37온코빅스김성은
8라운지랩황성재38올라핀테크김상수
9라이트브라더스김희수39올링크김경동
10론픽백준영40와이테크이용하
11리짐인터내셔널손재일41웨이브릿지오종욱
12메디인테크이치원42웨인힐스벤처스이수민
13메디히어김기환43지니웍스이앙
14모노랩스소태환44클랩김성호
15모두의연구소김승일45테라릭스김태영
16모빌테크김재승46테스트웍스윤석원
17몬스터스튜디오정지환47토닥민규식
18바로팜김슬기48티오더권성택
19브리지테일윤선진49패스트뷰오하영
20비모뉴먼트반성연50퍼스트캔버스김준수
21샤플앤컴퍼니이준승51펠레메드김용철
22세이지리서치박종우52포스타입신규섭
23소다크루이윤세53프레쉬벨김근화
24솔메딕스양인철54프리윌린권기성
25씨드모젠박기랑55핀텔김동기
26아이오트러스트백상수56필로포스정중호
27알고케어정지원57헥사휴먼케어한창수
28알씨테크임태화58헥슬란트노진우
29에덴룩스박성용59혜움랩스옥형석
30에이온유학동60휴마스터이대영
(자료제공=중소벤처기업부)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중소벤처기업부는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잠재력이 있는 '아기유니콘기업' 60개사를 2일 발표했다.

이번 ‘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은 혁신적 사업모델과 성장성을 검증받은 유망 창업기업을 발굴해 예비 유니콘기업으로 육성하는 사업이다. 2020년 40개사, 2021년 60개사 등 총 100개사를 선정해 지원한 아기유니콘은 고용이 2배 가까이(91.4%↑) 증가하고 매출은 2.5배(149.6%↑) 증가하는 등의 성과를 냈다.

올해는 284개 중소기업이 지원해 4.7: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5월 25일 총 50명의 전문심사단과 70명의 국민심사단이 참여한 최종 발표평가를 통해 60개사가 선정됐다. 이번에 선정된 60개사 아기유니콘 기업의 평균 업력은 5.1년, 매출액은 46.4억원, 고용 인원은 35.9명으로 나타났다.

선정기업들은 기술보증기금의 기술과 사업성 평가에서 에이에이(AA)등급 이상인 우수 기업이 절반(46.9%, 28개)을 차지하고 있으며, 평균 투자유치금액은 38.2억원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정보통신 분야와 자료·연결망·인공지능(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기반 체제(플랫폼) 분야 기업이 27개(45.0%), 생명공학(바이오)‧건강(헬스) 분야 기업이 16개(26.7%) 등 미래유망 분야 기업이 다수 선정됐다.

주목할 만한 선정기업으로 최종평가에서 최고 성적을 거둔 ‘네이처모빌리티’는 제주도를 기반으로 성장한 회사로 임대차 가격비교 플랫폼인 ‘찜카’를 운영하고 있다.

최종 평가에서 전문가평가단으로부터 “다양한 이동수단(모빌리티) 자원들 가운데 끊임없이 틈새시장을 찾아내 운영해 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아보인다”는 평가를 받았다.

’엔원테크‘의 아이템은 미래 전기차 모빌리티의 핵심 장치인 2차 전지 내 동박막* 생산용 설비다. 이 회사는 글로벌 배터리 완성기업이 요구하는 가볍고 부피가 적은 동박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동박막 생산설비 핵심기술을 보유해 동박막 제조사에 해당 설비를 공급 중에 있다.

’토닥‘은 200개 이상 국가에서 10만개가 넘는 창업기업이 지원한 2021년 세계 창업기업 창업가 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기업이다. 청각장애인의 청신경에 전기자극을 가하여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해주는 의료기기인 인공와우를 개발했다.

중기부는 이번에 선정된 아기유기콘에 신시장 개척자금 최대 3억원을 지원하며, 추가적으로 최대 50억원 특별보증, 최대 100억원 정책자금, 중기부 기술개발(R&D) 사업 참여시 우대 등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올해는 기존 연계지원 외에 해외진출 지원, 방송광고 지원, 청년채용 장려금, 이에스지(ESG) 경영도입 지원 등 다양한 연계사업을 추가해 아기유니콘에게 더욱 풍부한 지원이 이루어진다.

한편, 중기부는 하반기에 40개사를 추가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kh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