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랩아시아, 2023 쇼츠 콘텐츠 트렌드 발표···10명 중 7명은 쇼츠로 첫 유튜브 채널 유입, 시청자 뷰 88.2%가 쇼츠에서 일어나
‘원콘텐츠 멀티유즈’ 가능해 크리에이터 수익활동 다각화 청신

이번 자료는 2월 1일부터 시작되는 유튜브 쇼츠 수익화 시작을 맞아 조사한 것으로, 콜랩아시아 자료에 따르면 유튜브 시청의 84%가 모바일에서 일어났다. 이는 모바일에 적합한 세로형 콘텐츠의 시청이 더 활발히 일어났다. 유튜브 채널 유입은 10명 중 7명은 쇼츠로 처음 채널에 접근했다. 그 다음은 탐색기능, 채널 페이지를 통한 유입이었다. 또한 시청자 뷰의 88.2%, 약 90%에 달하는 시청이 쇼츠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측정됐다. 그 다음은 비디오, 라이브스트림 순이었다.

유튜브는 과거 신규 구독자 1천명 보유 필수, 시청시간 4천시간 이상만 수익화 대상만 승인했으나 2월 1일부터 ‘90일간 쇼츠 조회수 1천만회 이상’도 수익화 대상으로 포함했다. 유튜브는 2021년부터 2023년 1월까지 ‘쇼츠 펀드’를 조성, 크리에이터들의 쇼츠 제작 환경을 조성하며 해당 시장의 수익성을 실험하며 가능성을 타진한 것으로 2023년부터 전면적인 크리에이터 수익화로 전환한 것으로 해석된다.
크리에이터 입장에서도 쇼츠는 매력적인 주요 수익창출 수단이 될 전망이다. 쇼츠의 경우, 콘텐츠 제작에 대한 부담이 적고, 기존 미디어 소비 시간 대비 많은 수의 영상을 소비하기 때문이다. 또한 한 번 제작한 숏폼 콘텐츠는 인스타그램의 릴스, 틱톡 등에도 확장해 활용할 수 있어 ‘원콘텐츠 멀티유즈’(One Content Multi Use)가 가능하다. 크리에이터 시장에도 지각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유진 콜랩아시아 대표는 "2년 전부터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서 틱톡을 중심으로 숏폼 영상 크리에이터가 빠르게 성장한 것을 파악한 덕분에 아시아 지역 숏폼 영상 전문 크리에이터의 영입과, 기존 크리에이터들의 쇼츠 제작을 적극적으로 독려해 콜랩아시아는 숏폼비디오 역량까지 갖춘 글로벌 크리에이터 전문기업으로 거듭났다” 며 “이번 유튜브 쇼츠의 수익화로 더 많은 새로운 크리에이터의 출현, 기존 크리에이터들의 다양한 콘텐츠의 시도와 사업확장, 광고주들의 새로운 마케팅을 도전함으로서 크리에이터 생태계 지각변동이 일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콜랩아시아는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크리에이터와 인플루언서들의 창작 활동을 돕고 수익창출을 지원하는 기업이다. 전 세계 1500개 이상의 유튜브 크리에이터의 채널을 보유하고 있으며, 콜랩아시아 크리에이터의 소셜미디어 전체 구독자 수는 20억명이 넘고, 월평균 누적 조회 수 120억 뷰를 달성했다.
khm@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