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돌아보지 마라.”

공포영화에 나오는 이야기가 아니다. 공포영화에서도 뒤돌아보면 어김없이 귀신이나 살인자가 기다리고 있는 것처럼 그림 속에서도 마찬가지다. 뒤돌아보면 사단이 난다. 오늘은 신화 속 금기를 깨고 뒤를 돌아보았던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아보려 한다.
아탈란타와 히포메네스
아탈란타와 히포메네스
구이도 레니(Guido Reni), 아탈란타와 히포메네스 (Atalanta and Hippomenes), 1630년, 스페인 프라도 미술관 소장

여기 아름다운 공주 아탈란타가 있었다. 그녀는 누구보다도 아름다우며 빠르고 강한 여전사였으나 딸이 결혼하기를 바라는 아버지의 마음과 달리 누구와도 결혼을 하지 않겠다고 결심한다. 그러나 왕인 아버지의 끈질긴 설득으로 인해 아탈란타는 달리기 경주를 제안해 자신보다 더 빨리 달리는 남자와 결혼하겠지만 자신에게 지는 남자들은 모조리 죽일 것이라 선언했다.

아름다운 데다 공주라는 신분까지 가진 아탈란타를 차지하기 위해 수많은 남자들이 그녀에게 도전장을 내었지만 그녀보다 빨리 달릴 수 있는 남자는 아무도 없었다. 결국 많은 남자들이 경주에 져서 목숨을 잃었지만 이 위험한 경주는 계속됐다. 달리기 경주의 심판을 맡고 있던 히포메네스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공주 아탈란타에게 첫눈에 반해 어떻게 하면 공주를 이길 수 있을까 줄곧 생각하다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에게 도움을 청했다.

아프로디테는 황금사과 3개를 그에게 내려주며 달리기 경주 도중 그녀가 앞지르려 할 때면 이 황금사과를 뒤로 하나씩 던지라고 귀띔했다. 경주가 시작되자 예상대로 히포메네스는 죽을힘을 다해 달렸지만 아탈란타는 금세 그를 따라잡았다.

그때 히포메네스가 첫 번째 사과를 뒤로 던졌다. 그냥 사과가 아닌 금으로 만들어진 사과라니, 공주도 여자였다. 반짝이는 것에 대한 호기심을 이기지 못하고 뒤를 돌아보고는 떨어진 사과를 주웠다. 또다시 아탈란타가 따라붙자 히포메네스는 같은 방법으로 두 번째, 세 번째 사과를 뒤로 던져 아탈란타를 자꾸만 뒤돌아보게 만들었다. 결국 아탈란타는 뒤돌아보면 안 된다는 유혹을 뿌리치지 못해 경주에 패배했고, 히포메네스는 승자가 돼 공주를 차지했다.

이탈리아의 화가 구이도 레니처럼 고전미가 넘치도록 인체를 아름답게 묘사한 화가도 드물다. 그의 그림 속 아탈란타와 히포메네스는 옷자락을 나풀거리며 유연한 몸의 선을 드러내고 있다. 그들은 지금 경주를 하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춤을 추고 있는 것일까. 팔과 다리를 쭉 뻗은 동작은 마치 아름다운 군무를 보는 듯 우아하고 섬세하다. 화면을 꽉 채운 그들의 춤은 완벽한 균형감으로 보는 이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지하세계로부터 에우디리케를 이끌어내는 오르페우스
지하세계로부터 에우디리케를 이끌어내는 오르페우스
장 바티스트 카미유 코로(Jean-Baptiste Camille Corot), 지하세계로부터 에우디리케를 이끌어내는 오르페우스 (Orpheus Leading Eurydice from the Underworld), 1861년, 미국 휴스턴 미술관 소장

자신의 욕망을 이기지 못해 뒤를 돌아보아 경주에 진 여자의 이야기가 있다면, 불안감을 이기지 못해 뒤를 돌아보아 결국 자신의 것을 영영 잃어버린 남자의 이야기도 있다. 그리스 신화의 그 유명한 오르페우스와 에우디리케의 이야기다.

고요하고 평온한 느낌의 푸른 숲 속, 이 세상에는 존재하지 않는 듯한 그림 속 세계는 죽은 자들의 세계다. 흔히 명계는 어두침침한 지옥으로 묘사되지만 장 바티스트 카미유 코로는 너무나도 평온한 느낌의 세계를 그려냈다. 망자들이 영원한 휴식을 취하기에 조용한 숲 속처럼 편안한 곳이 있을까. 강 건너의 죽은 자들을 뒤로하고 여기 남녀 한 쌍이 손을 잡고 이 세계를 빠져나오려 하고 있다.

사이좋은 부부였으나 갑자기 뱀에 물려 지하세계로 떠나게 된 아내 에우디리케로 인해 오르페우스는 깊은 슬픔에 빠진다. 그러나 오르페우스가 누구인가. 태양의 신이자 음악의 신 아폴론이 그의 아버지요, 뮤즈 아홉 자매 중 막내 칼리오페가 그의 어머니였다. 부모의 피를 물려받은 오르페우스는 절대 공짜로 강을 건너게 해주지 않는 저승의 뱃사공 카론 영감과 망각의 강 레테는 물론 저승의 신 하데스까지 애달픈 하프소리로 매혹시키고 만다.

명부의 신들마저 감동시킨 오르페우스는 이승으로 나갈 때까지 절대 뒤를 돌아봐서는 안 된다는 조건하에 아내 에우디리케를 다시 이승으로 데려가도 좋다는 허락을 받는다. 그러나 지하세계를 거의 다 빠져나와서 오르페우스는 그만 불안한 마음에 뒤를 돌아보며 아내 에우디리케의 얼굴을 확인하려 했고, 결국 에우디리케는 다시 어둠속으로 빨려들어가고 만다. 슬픔에 미친 오르페우스는 강물에 몸을 던져 비극적 최후를 맞는다.


명부의 신들마저 감동시킨 오르페우스는 아내 에우디리케를 다시 이승으로 데려가도 좋다는 허락을 받았다. 그러나 이승으로 나갈 때까지 절대 뒤를 돌아봐서는 안 된다는 조건이었다


카미유 코로의 그림 속 오르페우스는 아내 에우디리케의 손을 잡고 씩씩하게 걸음을 내딛고 있다. 아내를 다시 찾은 기쁨에 그의 동작은 힘에 차있고 굳게 잡은 손을 절대 놓지 않을 것처럼 보인다. 그 뒤를 따르는 에우디리케는 자신의 운명을 예감했는지 어딘지 모르게 불안한 느낌이다. 강 건너 지하세계의 신들은 희미하게 모습을 드러내어 그들을 지켜보고 있다. 그들의 운명은 다시 이어지지 않을 것임을 이미 알고 있었던 것이다. 사람의 마음이란 결국 자신이 가진 것을 놓지 않기 위해 다시 뒤돌아보게 될 것임을 신들은 꿰뚫어 본 것이었을까.



살아가면서 누구나 문득 내가 걸어온 길을 뒤돌아보게 된다. 그리고 후회하기도 하고, 그리워하기도 하고, 혹은 한동안 미련으로 주저앉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뒤돌아보는 일이 특히 금기시 되는 이야기가 바로 신화다. 신화 속 주인공들은 절대 뒤돌아보지 말라는 신의 계시를 어기고 자꾸만 뒤돌아본다. 그리고 일종의 징크스처럼 불행이 닥친다. 그럴 걸 알면서 왜 뒤돌아보냐고? 그러나 그런 상황이 왔을 때 스스로 뒤돌아보지 않을 자신이 있는지 한번 생각해보라. 알면서도 뒤돌아보기에 신이 아닌 인간이고, 그렇기에 삶은 예측 불허가 아닌가. 뒤돌아보지 않고 앞만 보고 나아가기엔 우리네 인생엔 너무 많은 추억과 유혹이 함께 있으니.
[강지연의 그림읽기] 치명적 유혹의 한 마디 “뒤돌아보지 마라”
강지연 _ 교사. <명화 속 비밀이야기>, <명화 읽어주는 엄마> 저자. ‘귀차니스트의 삶 (http://blog.naver.com/oilfree07)’ 운영. oilfree0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