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에 접어든 후 주요 예측기관들의 수정 전망치가 속속 발표됐다.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다른 어느 때보다 물가에 할애되는 부분이 많다. 1980년대 초반 이후 약 30년 만에 가장 큰 비중이다.

이처럼 비중이 커진 인플레이션은 다양하게 분류된다. 우선 원인에 따라 ‘수요견인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tion)’과 ‘비용상승 인플레이션(cost-push inflation)’으로 나뉜다. 전자는 경기 과열이, 후자는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원인이다.

물가 상승 속도에 따라서는 ‘마일드 인플레이션(mild inflation)’과 ‘하이퍼 인플레이션(hyper inflation)’으로 구분된다. 일부에서는 전자를 ‘크리핑 인플레이션(creeping inflation)’, 후자를 ‘갤로핑 인플레이션(galloping inflation)’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경제성장과 연관시켜 인플레이션을 분류하는 방법도 있다. 경기침체 하에 물가가 올라가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과 고성장을 하더라도 물가는 오히려 안정되는 ‘골디락스(goldilocks)’ 혹은 신경제 국면이다.

증시 입장에서 전자가 발생하면 최악의 상황이, 후자가 발생하면 최선의 상황이 나타난다. 대표적인 시기는 각각 1980년대 초, 1990년대 후반의 미국 경제를 들 수 있다.

이런 기준에서 올 하반기 미국 경제는 ‘준(準)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엿보인다. 극심한 스태그플레이션에 시달렸던 1980년대 초반만큼은 아니지만 성장률이 잠재수준 밑으로 떨어지고 소비자물가는 상반기보다 더 올라갈 전망이다.

또 하나의 중심국인 중국에서도 하반기에는 준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우려된다. 예측기관들은 특히 3분기에 그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작년 이후 추진했던 긴축정책이 의도했던 효과를 거두지 못함에 따라 올 2분기부터 성장에 부담을 줘 3분기에는 일시적으로 성장률이 잠재수준을 하회할 수 있다는 얘기다.
올 하반기 미국 경제는 성장률이 잠재수준을 밑돌고 소비자 물가는 더 올라가는 ‘준(準)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엿보인다.
올 하반기 미국 경제는 성장률이 잠재수준을 밑돌고 소비자 물가는 더 올라가는 ‘준(準)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엿보인다.
이웃 일본은 더 심각하다. 경제 무기력증에 해당하는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구조적으로 5대 함정(정책 함정·유동성 함정·구조조정 함정·불확실한 함정·빚의 함정)에 빠져 있는 데다, 정치력 부재 등으로 성장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동시에 마이너스 국면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기관들은 내다봤다. 통계상 기저효과로 내년에는 디플레이션 국면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전망되는 점은 그마나 다행스런 일이다.

중국을 제외한 신흥국들은, 물가는 더 이상 오르지 않겠지만 여전히 중앙은행이 설정하고 있는 목표선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됐다. 물가를 잡기 위해 추가적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경우 성장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시각도 제시됐다. 한편 최근 들어 새로운 인플레 용어도 많이 등장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헤지펀드 업체인 시브리즈파트너스(Seabreeze Partners)의 더글러스 카스 대표가 처음 사용한 ‘스크루플레이션(screwflation)’이다. 쥐어짠다는 의미의 ‘스크루(screw)’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다.

스크루플레이션은 비슷한 의미를 갖고 있는 스태그플레이션과 구별된다. 후자는 거시경제 차원에서 경기가 침체되면서 물가가 올라가는 현상이지만, 전자는 미시적인 차원에서 쥐어짤 만큼 일상생활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체감물가가 올라가는 현상을 말한다. 이 때문에 스크루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나면 증시는 가장 어려운 상황을 맞이한다.

한상춘 한국경제 객원논설위원 겸 한국경제TV 해설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