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무너지는 영국 지자체…‘3대 도시’ 버밍엄마저 파산

    [비즈니스 포커스] 영국 지방자치단체들이 파산 공포에 휩싸였다. 영국의 3대 도시로 불리는 버밍엄이 파산하자 다른 지자체들도 그 뒤를 따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영국 매체 가디언은 “더 많은 (영국) 시의회가 어려움에 빠지는 것을 보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하기도 했다. 주요 외신 등에 따르면 버밍엄 시의회는 9월 5일 필수 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지출을 금지하는 조치인 ‘섹션 114’ 통지를 내렸다. 영국의 지방의회 등은 지출 약속을 이행할 수 없다고 판단될 때 이런 조치를 내린다. 이후 수정 예산을 통해 서비스 지출을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한다. 참고로 내각제인 영국은 각 지역도 의회 중심으로 운영된다. 버밍엄 시의회는 노동당이 집권당이다. 이번 결정에 따라 버밍엄은 아동 보호와 사회 복지, 교육, 폐기물 수거 등 필수 분야 이외의 지출을 모두 중단하게 됐다. 버밍엄의 도심 도로 정비나 공원 조성, 문화 사업 등이 당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버밍엄에서 2026년 열릴 예정인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 지출해야 할 자금 역시 사용할 수 있을지 불확실한 상태다. 버밍엄 시의회가 파산한 배경은 이렇다. 버밍엄 시의회는 영국 대법원의 동일 임금 판결에 따라 최대 7억6000만 파운드(약 1조7000억원)를 소급 지급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버밍엄 시의회는 현재로선 이를 낼 재원이 없다고 밝혔다. 앞서 영국 대법원은 버밍엄 시의회에 교육 보조, 급식 등의 업무를 한 여성 170여 명이 낸 소송에서 이들에게도 동일한 상여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한 바 있다. 과거 버밍엄 시의회가 쓰레기 수거와 환경 미화 등 남성들이 많은 직종에만 상여금을 줬다

    2023.09.07 08:42:08

    무너지는 영국 지자체…‘3대 도시’ 버밍엄마저 파산
  • 영국 ‘3대 도시’ 버밍엄에 무슨 일이?...사실상 파산 선언

    버밍엄이 사실상 파산 선언을 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버빙엄은 런던, 멘체스터와 함께 영국 3대 도시로 꼽힌다. BBC 등 주요 외신 등에 따르면 잉글랜드 중부 버밍엄시의 의회는 5일(현지시간) 지방정부재정법에 따라 필수 서비스 외 모든 지출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유럽 최대 지방자치단체인 버밍엄 시의회의 올해 예산은 32억파운드(5조4000억원)다. 그런데 이 중 8700만파운드(1459억원)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동일 임금 판결에 따라 최대 7억6000만파운드(약 1조7000억원)를 소급 지급해야 하는데 그럴 재원이 없다고 밝혔다. 2012년 대법원은 버밍엄 시의회에서 교육 보조, 급식 등의 업무를 한 여성 170여명이 낸 소송에서 이들에게도 동일한 상여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한 바 있다. 과거 시의회는 쓰레기 수거와 환경미화와 같이 남성들이 많은 직종에만 상여금을 줬다. 의회는 이와 관련해 “이미 11억파운드를 지출한 데다 새로운 IT 시스템 비용까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물가 상승, 성인 사회복지 수요 확대, 법인세 세수 급감 등도 전례 없는 재정난의 배경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의회는 지난 10여년간 보수당 정부가 지방에 보내는 예산을 줄인 탓도 있다고 비판했다. 내각제인 영국은 각 지역도 의회 중심으로 운영되며, 버밍엄 시의회는 노동당이 집권당이다. 영국 지자체는 지출 약속을 지킬 수 없다고 판단될 때 이런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후엔 대체로 수정 예산을 통해 서비스 지출을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한다고 BBC는 전했다. 이에 앞서 크로이든, 워킹 등 몇몇 지자체도 균형 예산을 운영할 수 없다며 역시 파산 선언을 했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09.06 07:51:21

    영국 ‘3대 도시’ 버밍엄에 무슨 일이?...사실상 파산 선언
  • 경영난 겪는 신발 브랜드들…무엇이 문제일까

    [case study, 실패에서 배운다]코로나19 사태 이후 글로벌 신발 브랜드들이 경영난을 겪고 있다. 미국 신발 회사 락포트와 영국 부츠 제조사 헌터부츠는 최근 한 달 새 연달아 파산 소식을 알렸다. 캐나다의 신발 회사 알도는 2020년 파산 보호 신청 이후 지난 2년간 구조 조정을 진행했다. 이들 브랜드는 신발 시장 내 어중간한 위치로 충성도 높은 고객들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뒤처지기 시작했다. 또한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중심의 신규 고객을 유치하지 못한 것도 파산의 원인이 됐다. 여기에 포트폴리오 부족, 경영진의 잘못된 판단 등도 영향을 미쳤다. 경영난 겪는 신발 브랜드들‘편안한 착용감’을 내세우며 규모를 키운 미국 신발 회사 락포트가 경영난을 겪고 있다. 미국 경제 매체 블룸버그에 따르면 락포트는 지난 6월 미국 델라웨어 주 파산법원에 파산법 11조(챕터11)에 따른 파산 보호를 신청했다. 락포트가 법원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락포트의 부채는 1억 달러(약 1300억원) 수준이고 상위 5개 채권자에 4700만 달러(약 614억원)를 빚진 상태다. 전체 채무액 가운데 60%는 당장 오는 8월까지 납부해야 한다.미국 파산법 11조는 한국의 법정 관리와 유사한 프로그램으로, 부채 상환 여력이 없는 기업의 채무 이행을 한시적으로 중단하고 자산 매각을 통해 기업을 정상화하는 절차다.2018년 1월부터 락포트를 이끌어 온 그레그 리밧 최고경영자(CEO)는 사임했다. 다만 마르케세 최고수익책임자(CRO)의 회사 운영을 돕기 위한 자문에는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락포트의 파산 신청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8년 5월에도 델라웨어 주 윌밍턴 파산법원에 파산 보호 신청을 냈다. 2015년 락포트의 모회사가 아디다스그

    2023.07.22 06:00:04

    경영난 겪는 신발 브랜드들…무엇이 문제일까
  • 파산한 미국 기업, 13년래 최고… “파산 기업 더 늘 것” 파월의 저주?

    미국 기업의 파산신청 건수가 최근 13년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스탠더드앤프푸어스(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는 6월 24일 미국 내 기업의 파산 신청 건수가 올해 들어 324건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미국 기업의 전체 파산 건수는 374건이었다. 이와 비교해 올해는 상반기가 채 지나지 않았음에도 지난해 전체 건수와 맞먹는 숫자의 기업들이 파산을 신청한 셈이다. 특히 올해 4월까지 파산 신청 건수는 230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2010년 이후 같은 기간 동안 가장 높은 수치다.무디스 인베스터스 서비스에 따르면 올 들어 현재까지 미국과 캐나다에서 발생한 채무 불이행도 41건으로, 전년동기 대비로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샤론 우 무디스 부사장은 "특정 업종뿐만 아니라, 여러 산업 분야에서 채무 불이행이 발생하고 있다”며 “수익성이 약하고 부채 부담이 큰 기업, 특히 주로 대출 시장에서 차입하는 기업의 디폴트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무디스는 보고서를 통해 투기 등급 기업의 채무불이행 비율이 올해 연말까지 장기평균인 4.1%를 넘어 4.6%까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4월 말 5%로 정점을 찍을 것이라는 전망이다.미국 내 파산이나 채무불이행 기업들의 증가는 높은 대출금리로 인해 기업들의 신규 자금 확보 비용이 증가한데다 경기 또한 침체 국면에 빠져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더 많은 유동성이 필요하거나 재융자가 필요한 기업들은 이미 높은 신규 부채비용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황에서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더 많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공표하고 나서며 우려가 높아지

    2023.06.26 14:34:52

  • ‘레인부츠 대명사’ 헌터는 왜 파산했을까

    160년의 전통을 이어오며 ‘레인부츠의 대명사’로 불리는 영국 웰링턴 부츠의 제조사 헌터가 파산했다.블룸버그 통신은 20일(현지시간) 장화 생산업체 헌터가 법정관리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헌터사는 법정관리 신청서에서 “2019년 이후 중대한 도전을 맞았다”며 현재 부채 규모가 약 1억1500만파운드(약 1890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블룸버그는 헌터가 공급망 문제,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인플레이션, 계절에 맞지 않는 이상고온 등의 조합으로 인해 파산을 맞게 됐다고 설명했다.헌터는 1857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노스 브리티시 러버 컴퍼니'라는 이름의 고무 제품 제조업체로 시작했다.대표 상품은 시중에서 175달러(약 22만6000원)에 판매되는 웰링턴 부츠다. 2000년대 들어 케이트 모스, 알렉사 청 등 유명인들이 이 장화를 즐겨 신는 것이 목격되며 더욱 유명해졌다.하지만 최근 들어 시장 경쟁이 치열해진 데다, 작년 겨울 미국에서 예년보다 따뜻한 기후가 이어지며 북미 시장 매출이 15% 이상 감소한 것이 직격탄을 맞았다.다만 블룸버그는 헌터사 부츠 브랜드의 지적재산이 미국 어센틱 브랜즈 그룹(ABG)에 매각돼 관련 브랜드 생산은 계속될 것이라고 전했다.ABG 최고경영자(CEO) 제이미 솔터는 성명을 통해 “헌터 브랜드를 계속 성장시킬 것”이라며 관련 상품 생산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06.22 08:43:45

    ‘레인부츠 대명사’ 헌터는 왜 파산했을까
  • 농업계의 애플, ‘에어로팜’은 어쩌다 파산에 몰렸나

    농업계의 애플로 불리던 수직농업 기업 에어로팜(AeroFarms)이 파산 위기에 몰렸다. 지난주 법원에 파산보호 신청을 했고, 대표도 고문으로 물러났다. 혁신적 농업으로 평가됐던 수직농업이 처한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란 평가다. 고금리로 투자금 유치가 쉽지 않았던 것뿐 아니라 높은 비용이라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에어로팜은 2004년에 설립된 미국 3대 스마트팜 기업 중 하나다. 폐공장을 개조해 6400㎡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 수직농장(Vertical Farm)을 설치했다. 설립 이후 약 2억 3천 9백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며 ‘농업계의 애플’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수직 농업은 작물을 물에 담그지 않고 분무기로 물을 주며 천 위 공중에서 키우는 방식이다. 햇빛과 흙이 필요 없고 최소한의 물과 영양분만으로 재배가 가능하며, 전통 농사 방식의 95%, 기존 수경재배의 40%에 달하는 물을 절약을 할 수 있다. 작물을 물에 넣어 키우는 수경재배보다 한 단계 더 발전한 재배 방식으로 볼 수 있다. 에어로팜은 여기에 작물의 종류 및 성장 상태에 따라 LED 파장을 자동 조절하는 ‘조명 자동화 시스템’을 독자 개발해 기존 스마트팜 대비 75% 높은 수확량을 달성했다. 1년에 30번 작물을 수확할 수 있고, 동일 면적 대비 생산성도 390배 높다. 전통적인 농업 한계를 극복하면서 자원 낭비도 줄일 수 있어 에어로팜은 ESG 시대에 중요한 투자처로 떠올랐다. 하지만 금리 인상은 에어로팜의 상장과 추가 투자유치를 어렵게 만들었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미국 은행들은 스타트업에 대한 대출 감소 및 철회에 나섰다. 대출 규모의 축소에 따라 신용 경색으로 올해 미국 내 1~4월 파산 신청 기업은 235건에 달한다. 전

    2023.06.21 17:03:03

    농업계의 애플, ‘에어로팜’은 어쩌다 파산에 몰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