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재용, 삼성 기술로 제조 혁신 이룬 부산 스마트 공장 갔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취임 이후 ‘미래동행’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10월 17일 첫 현장 경영 행선지로 광주지역 협력회사를 찾은 데 이어 11월 8일 삼성전자로부터 스마트 공장 구축 지원을 받은 부산 소재 도금업체인 동아플레이팅의 제조 현장을 방문했다.이 회장은 동아플레이팅 생산 현장을 둘러보며 “건강한 생태계를 조성해 상생의 선순환을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삼성전자는 스마트 공장 구축 지원 사업은 삼성전자의 대표적인 사회적 책임 활동(CSR) 중 하나다. 삼성전자는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삼성의 제조 혁신 기술과 성공 노하우를 제공해 제조업 발전과 상생 협력에 기여하고 있다.동아플레이팅은 전기아연 표면처리 전문 중소기업으로 2018년 이후 3차례에 걸쳐 삼성전자의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을 받았다. 기존 수작업 공정 자동화 등 제조 혁신이 이뤄지면서 생산성은 37% 상승했고 불량률은 77% 감소했다.‘제조업 뿌리’인 도금산업은 IT, 자동차, 조선 등 국가 기간산업의 경쟁력을 높여주는 기초산업이지만 근무 환경 등의 문제로 청년들의 외면을 받으며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동아플레이팅은 삼성전자의 지원을 통해 근무 환경이 대폭 개선되면서 임직원 평균 연령 32세로 청년들이 찾는 제조 현장으로 탈바꿈했다. 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2022.11.08 16:00:05

    이재용, 삼성 기술로 제조 혁신 이룬 부산 스마트 공장 갔다
  • [르포]K-뷰티 경쟁력의 산실, 한국콜마 세종 공장을 가다

    [비즈니스 포커스]한국 화장품 시장에서 최초로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시스템을 도입한 한국콜마는 2019년 8월 서울 서초구 내곡동에 종합기술원의 문을 열었다. 이곳에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던 연구 인력을 모았다. 화장품·제약·건강기능식품 등 3가지 분야의 기술들을 조합하며 기술력의 융합을 이끌기 위해서였다.화장품 산업에서 연구가 씨를 뿌리는 것이라면 이를 꽃으로 피워 내는 역할은 생산 기지가 도맡는다. 기술력을 한곳에 집결하는 동안 한국콜마의 또 하나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세종 공장에도 변화가 시작됐다. 최근 산업군을 가리지 않고 제조 기지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을 도입하며 ‘스마트 공장’으로 변신 중이다. 한국콜마 세종 공장 역시 2019년부터 스마트 공장 전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700여 개 고객사의 제품을 생산하는 만큼 고객사의 어떠한 요구에도 완벽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생산 기지를 구축하는 것이 스마트 공장 전환의 최종 목표다. ‘노 마스크’ 기대로 들썩이는 화장품 생산 기지 한경비즈니스가 세종시 전의면에 있는 한국콜마 세종 공장을 찾은 4월 29일은 마침 정부가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조치를 해제할 것을 발표한 날이었다.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한 지 566일 만의 일이다. 물론 야외에서도 50인 이상이 모인 곳에서는 마스크를 써야 하고 실내 규제는 여전하기 때문에 완전한 ‘마스크 프리’는 아니다. 하지만 규제가 다소 풀어진 만큼 화장품업계는 앞으로의 매출 증가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글로벌 화장품 기업들의 제조를 도맡는 ODM과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사업자인 한국콜마는 최근 기대

    2022.05.09 06:00:34

    [르포]K-뷰티 경쟁력의 산실, 한국콜마 세종 공장을 가다
  • 스마트 공장 배움터를 만드는 아이지

    [비즈니스 포커스]스마트 공장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 변화다. 발 빠른 기업들은 현실 세계의 기계·장비·사물 등을 가상 세계에 똑같이 구현한 이른바 ‘디지털 트윈’으로 제조업 혁신을 본격화하고 있다. 문제는 이를 개별 현장에 적용할 ‘솔루션’과 ‘실무자’다. 스마트 러닝 팩토리 전문 기업인 아이지는 스마트 공장을 위한 교육용 장비를 개발 공급하고 솔루션을 적용하는 것은 물론 스마트 공장을 위한 인재 양성으로 스마트 공장 보급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A부터 Z까지…스마트 공장 구축 나서 충남 천안에 있는 한국기술교육대(이하 코리아텍)에 세계 최초의 5세대 이동통신(5G) 기반의 스마트 러닝 팩토리(smart learning factory)가 있다. 이름 그대로 스마트 공장의 모든 것을 배울 수 있는 학습 공간이다. 가상 물리 시스템·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CT)이 집약된 지능형 생산 공장으로 첨단 기술을 융합해 생산 과정의 실습 교육과 시연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당시 코리아텍은 4차 산업혁명 창의 융합형 인재 육성과 재직자의 기술 향상을 위해선 스마트 러닝 팩토리 건립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했다. 곧 이어 이를 실현해 줄 기업을 찾았다. 스마트 러닝 팩토리 전문 기업인 아이지다.“6개월간 우리 직원들이 합숙하며 스마트 러닝 팩토리를 구축했어요. 스마트 공장의 A부터 Z를 다루는 것을 목표로 했죠.” 김권일 아이지 이사는 2018년 코리아텍에 스마트 러닝 팩토리를 구축할 당시를 떠올리며 이같이 말했다.아이지는 스마트 공장 엔지니어링 전문 기업이다. 스마트 공장을 구성하는 주요 기술을 보유해 경쟁력

    2021.11.26 06:00:02

    스마트 공장 배움터를 만드는 아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