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출생아 수 줄었지만, 거대해진 키즈 시장 ... 알파세대 잡기에 나선 기업들

    출생아 수가 매해 감소하는 가운데 키즈 시장 몸집이 커지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키즈 산업 시장 규모는 2008년 8조 원에서 2012년 27조 원, 2020년 50조 원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미래 소비 주체가 될 알파세대를 잡기 위한 기업들의 움직임도 바빠지고 있다.2010년에서 2024년 사이에 출생한 알파세대는 자유와 개성을 중시하는 밀레니얼 부모 밑에서 성장하며, 다양한 교육적 혜택은 물론 완전한 디지털 환경 속에서 자라 각종 디지털 기기와 디지털 콘텐츠 사용에 능숙한 것이 특징이다.잠재 타겟으로 떠오른 알파세대를 위해서 스타트업과 통신업계는 이들을 위한 놀이와 교육 콘텐츠를 선보이며 공을 들이고 있다. 유·아동 시절 확립된 브랜드는 성인이 된 후에도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온라인 클래스부터 모바일 기기에 익숙한 아이들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플랫폼, 올인원 체험학습 서비스, 아이의 경제관념 확립을 돕는 플랫폼 등이 주목받고 있다.■ 클래스101 키즈 카테고리 클래스 전년 동기 대비 184% 증가글로벌 온라인 클래스 구독 플랫폼 클래스101은 키즈 시장의 성장세에 발맞춰 키즈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다양화하고 있다. 지난 5월 키즈 클래스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84% 증가했으며, 6월 말까지 집계된 누적 클래스 수만 약 400건에 달해 꾸준히 키즈 콘텐츠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아이들을 위한 클래스로는 △란이 <점프맵부터 RPG 스토리까지! 로블록스 코딩기초와 게임제작> △지나쌤 <창의력이 폭발하는 지나쌤의 입체 종이접기> △소담쌤 <아이템 만들기부터 캐릭터 드로잉까지, 제페토 크리에이터의 모든 것!> 등의 클래스

    2023.07.07 16:00:53

    출생아 수 줄었지만, 거대해진 키즈 시장 ... 알파세대 잡기에 나선 기업들
  • 요즘 초등생 핫플레이스는 ‘이곳’ [김민주의 MZ 트렌드]

    편의점이 초등생의 놀이터로 자리 잡았다. 초등학생들은 방과 후 편의점에 들러 간식거리 및 유행제품을 사거나 꼭 구매하지 않더라도 습관적으로 들러 어떤 상품이 신규 출시됐는지 구경한다. 이들이 주로 구매하는 제품은 컵라면이나 삼각김밥 등 식사 대용품과 간식거리, 그리고 캐릭터 완구 등이다. 실제로 편의점을 이용하는 고객 중 10대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다. 매출 비중은 아직 작은 데 비해 성장 속도는 매우 빠르다.GS25의 2021년 10대 매출 비중은 0.8%에 불과했지만 22년도 말 기준 1.4%로 늘었으며, CU의 10대 매출 비중은 같은 기간 3.7%에서 4.0%로 증가했다. 세븐일레븐의 13세 이하 소비자 매출 비중도 매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2021년에는 전년 대비 20%, 2022년에는 전년 대비 40%까지 성장했다. 10대는 제품 구매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편의점 결제를 하기 위해서도 편의점에 자주 방문한다. 편의점 결제는 오프라인 현금 결제 서비스로, 온라인 쇼핑몰에서 원하는 물품 구매 후 편의점에 가서 현금으로 결제하는 방식이다.현금으로 용돈을 받는 청소년들에게 요긴하게 사용돼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편의점 결제 서비스를 개발한 기업 ‘갤럭시아머니트리’에 따르면 실제 편의점 결제 이용 고객 중 99%를 10대가 차지하고 있다. 에듀핀테크 기업 레몬트리가 자사 앱 ‘퍼핀’ 가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기 용돈을 받는 자녀의 주 결제처로 편의점이 1위를 차지했다. 자녀용돈관리 및 금융플랫폼 ‘퍼핀’ 가입자 대부분은 초등 고학년 자녀와 부모로 집계됐다. 편의점 업계는 미래 주 고객층으로 급부상한 10대의 수요를 잡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10대에 인기

    2023.05.26 15:14:10

    요즘 초등생 핫플레이스는 ‘이곳’ [김민주의 MZ 트렌드]
  • [special] MZ 이어 알파 온다

    MZ(밀레니얼+Z) 세대가 각종 트렌드와 문화를 이끄는 주력 세대로 부상한 이후 적잖은 시간이 흘렀다. 그렇다면 Z세대의 뒤를 이을 다음 세대는 누구일까. 바로 밀레니얼 세대의 자녀 세대 격인 알파세대다. 디지털 설계자의 면모를 지닌 알파세대는 밀레니얼의 경제 교육 아래 ‘돈’과 ‘소비’의 가치를 그 어떤 세대보다 친숙하게 배웠다. 알파세대가 만들어 갈 소비 트렌드의 새로운 흐름을 미리 엿본다.글 정초원 기자 ccw@hankyung.com | 사진 이승재 기자-

    2023.03.29 07:00:08

    [special] MZ 이어 알파 온다
  • [special] “알파세대, 디지털 DNA 기본…놀이처럼 소비 즐겨”

    ‘디지털 건축가, 소비를 놀이처럼 즐기는 문화, 나를 중시하는 성향.’ 알파세대를 대표하는 설명들이다. 특히 경제 교육을 강조하는 밀레니얼 세대를 부모로 둔 알파세대는 필연적으로 ‘돈’의 가치를 어린 시절부터 습득하며 자란다. 저출산 시대에 태어난 아이들인 만큼, 존재 자체만으로도 특별한 ‘셀러브리티’로서의 자존감을 저마다 지녔다. 메타버스 세계를 자유롭게 누비며 가상공간을 창조하는 디지털 DNA는 기본이다. 소비 트렌드 전문가인 이수진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소비자학 박사)을 만나, 알파세대의 특징과 이들이 이끌어 갈 미래를 물어봤다. 알파세대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가장 큰 특징은 ‘디지털 아키텍트’라고 표현하고 싶다. 디지털의 설계사, 건축가라는 의미다. Z세대가 ‘디지털 네이티브’의 성향이 강했다면, 알파세대는 자신의 삶에서 디지털화의 비중이 90~100% 정도로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럼 알파세대가 디지털 아키텍트로서 가장 친숙하게 활용하는 디지털 도구는 무엇인가.“알파세대는 우리가 4차 산업혁명이라고 일컫는 모든 기술을 유연하게 받아들이는데, 특히 인공지능 스피커로 대변되는 AI 그리고 메타버스를 꼽을 수 있다. 그중에서도 메타버스를 빼놓고는 알파세대를 이야기하기 힘들다. 사실 기성세대는 대면 활동이 어려웠던 코로나19 시기에 메타버스를 대안으로 활용했던 측면이 컸다. 반면 알파세대에게 메타버스는 여가 활동이자 교육으로 연결된다. 코딩 교육을 의무적으로 받는 세대인 만큼, 자신이 직접 코딩해서 가상공간을 꾸미는 행위를 어릴 적부터 체화했다.이는 전 세대

    2023.03.29 07:00:06

    [special] “알파세대, 디지털 DNA 기본…놀이처럼 소비 즐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