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혁신의 원년’…인터넷 은행 등장
2016년 국내 금융시장은 규제 완화와 기술 혁신에 따른 ‘구조적 변화의 본격화’가 이뤄지는 원년이 될 전망이다. 먼저 규제 완화 부문은 사전 규제를 최소화함으로써 금융회사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상호 경쟁을 촉진해 금융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돋보인다.

2015년 정부는 23년 만에 기존 은행과 차별화되는 인터넷 전문 은행의 인가 계획을 발표했다. 보험업에서는 ‘보험 산업 경쟁력 강화 로드맵’을 발표해 22년 만에 사전 신고제와 표준 약관을 폐지하고 상품 가격과 자산 운용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등 보험 산업 관련 규제를 큰 폭으로 완화했다. 사모 펀드 관련 규제도 대폭 손보는 등 규제 완화의 폭이 넓어지면서 정책 시행이 본격화되는 2016년은 금융업 전반에 걸친 구조적 변화가 예상된다.

정책 변화뿐만 아니라 기술 혁신에 따른 영향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금융권의 화두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인 핀테크(Fintech)였다. 간편결제 플랫폼에서 시작된 핀테크 논의는 금융 산업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됐다.

해외에서 성공한 핀테크 모델들이 국내 환경에 맞춰 하나둘씩 선보이고 있다. 개인대개인(P2P) 대출 플랫폼 업체들이 등장하고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업체들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자산 관리 시장에선 로봇 어드바이저의 활약이 기대된다. 정부도 핀테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정부 부처와 민간 기관들이 참여한 ‘핀테크 지원협의체’가 구성됐고 핀테크 관련 입법 이슈들을 다루기 위한 ‘핀테크 특위’도 출범했다.

美 금리 인상·신흥국 부채 위기에 대비해야
대외적인 변수로는 글로벌 유동성 축소에 따른 신흥국의 부채 위기가 거론된다. 김승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2009년 미국에서부터 시작된 선진국의 통화 완화 정책은 일본·유럽·기타 주변국으로 확산되면서 엄청난 유동성 확장 사이클을 만들었다”며 “이제 미국에서부터 시작해 일본과 유럽순으로 확장이 마감되는 과정을 지켜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대전환의 과정에서 생겨날 수 있는 변동성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김 연구원은 조언했다. 또한 중국·브라질 등 신흥국과 대규모 양적 완화를 진행한 일본의 부채 관리 과정을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내 주식시장은 글로벌 경기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는 가운데 변동성 확대로 ‘지나친 낙관도, 지나친 비관도 경계해야 하는 장세’가 펼쳐질 전망이다. 따라서 변동성을 이용한 투자 전략이 요구된다. 또한 극한 상황에 몰릴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피하는 한편 현금이 많아 배당 확대 가능성이 높은 재무 구조 우량주에 투자하라고 금융 투자 업계 관계자들은 말한다.

조윤남 대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스피 지수 상승 요인에 대해 “세계 경기 회복 기대감이 생겨날 수 있고 미국의 금리 인상에 대한 시장의 충격이 이미 가격에 반영됐다면 금리 인상 후 신흥 시장의 불안이 보다 빠르게 진정될 수 있다”며 “배당 확대로 한국 기업의 저평가 정도가 해소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조 센터장은 이어 미국 금리 인상, 미국 대선, 국제 원자재 가격 등을 하락 요인으로 꼽았다.

2015년 코스닥 지수는 하반기 들어 다소 주춤했다. 지난 8월부터 빠르게 대두된 신흥국 증시 위기설과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하지만 2016년부터는 재차 상승세에 올라탈 전망이다. 정보기술(IT) 분야와 바이오·헬스 케어의 강세가 구조적이라는 판단에서다.

곽현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IT와 헬스 케어 비율이 높은 코스닥은 매우 긍정적인 상황”이라며 “코스닥과 비슷한 미국 나스닥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대비 상대 주가가 미국의 고령화 인구 비율 추이와 유사하게 움직이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채권시장은 가격 매력보다 안전 자산 수요가 유지될 전망이다. 내년 채권시장의 주요 이슈 중 하나는 구조조정이다. 기업들의 구조조정은 회사채를 통한 자금 조달이 어려울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내년에 구조조정이 심화되는 국면에서 위험성이 높은 회사채보다 안전성이 높은 국채의 투자 매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 자산의 필요성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변수 중 하나는 ‘공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