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증권]

단기 급등 노리고 들어갔다간 ‘쪽박’ 가능성 높아


[한경비즈니스=김정우 기자] 개인 투자자 이 모(남·35) 씨는 지난해 상장폐지를 위해 정리매매에 들어간 종목에 투자해 대박을 쳤다. 지인의 얘기를 듣고 해당 주식을 약 500만원어치 매수했는데 다음 날 주식 평가 금액은 1000만원을 넘어섰다.


정리매매 특성상 더 이상 들고 있으면 다시 주가가 폭락할 것 같아 얼른 주식을 매도한 뒤 쾌재를 불렀다. 불과 하루 만에 클릭 몇 번으로 500만원이 넘는 돈을 번 것이다. 그는 그때의 손맛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


정리매매는 ‘타이밍 싸움’이라며 언제든지 기회가 생기면 정리매매 종목에 또다시 투자할 것이라고 했다.



화장품 회사에서 근무하는 박 모(남·36) 씨는 반대다. 정리매매 소리만 들어도 학을 뗀다. 올해 3월 정리매매에 들어간 해운사 주식에 들어갔다가 쪽박을 찼다.


단기 차익을 노리고 1000만원을 투자했지만 결국 그의 손에 들어온 것은 300만원도 채 안 되는 금액이었다. 다시 급등할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기다렸지만 결국 기대는 실망이 됐다.


◆상·하한가 없는 ‘7거래일’



정리매매는 기업의 상장폐지를 앞두고 이뤄진다. 해당 주식에 투자한 주주들에게 포기할 권리를 7거래일 동안 주는 것이다. 상식적으로 보면 상장폐지 후 휴지 조각이 될 주식인 만큼 싼값에 거래되는 게 자연스럽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 주식이 상장폐지되더라도 회사의 주식 자체가 사라지는 것이 아닌데다 실적이 좋아지면 재상장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회사가 회생할 때를 노려 주식을 싼값에 매수하는 투자자들이 존재한다. 다만 그런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이 때문에 정리매매 종목을 사들이는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이른바 ‘한탕’을 노리고 투자하는 이가 대부분이다. 핵심은 정리매매 기간 동안엔 상한가와 하한가 제한 폭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주가가 수배까지 뛰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라는 말처럼 위험부담이 크지만 때로는 단기간에 투자금액 몇 배에 달하는 엄청난 수익을 안겨주기도 한다. 예컨대 운만 좋으면 투자금이 두 배, 세 배로 불어나기도 한다.



실제로 지난해에도 증시에서 퇴출된 종목 중 상당수가 정리매매 기간 동안 단기 급등을 보였다. 지난해 ‘상장폐지’ 1호인 승화프리텍은 정리매매 첫날 19%대가 하락했지만 다음 날 185%나 급등했다. 제이앤유글로벌 역시 정리매매 돌입 후 4거래일 동안 주가가 92% 감소했지만 5거래일째 331% 급반등했다.
정리매매 ‘치명적 유혹’…답은 정해져 있다
올해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그간 실적 부진 등의 악재로 투자자들의 관심에서 멀어졌던 종목들이 정리매매에 들어가면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프리젠은 정리매매 첫날부터 454% 뛰며 900원대였던 주가가 5000원이 됐다.


넥솔론도 정리매매 기간 동안 한차례 급등을 보였다. 최근 상장폐지가 결정돼 4월 24일까지 정리매매 기간이 부여된 코리아01호~04호도 일시적인 이상 급등을 보이면서 주식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종목으로 떠오른 상태다.


정리매매 첫날 동반으로 70% 정도 주가가 떨어졌지만 이후 장중 150%가 넘는 급등세를 보이기도 하며 투자자들이 몰리는 모습이다.


네이버 종목 게시판을 엿보면 해당 종목의 열기가 어느 정도인지 대충 가늠할 수 있는데, 코리아01호~04호는 하루에 수백 개의 글이 올라오는 중이다.



투자자에게 마지막 현금화 기회를 주기 위해 마련된 정리매매 제도가 노름판으로 전락해 버렸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심지어 정리매매 종목만 골라 들어가는 이들도 있고 근거 없는 정리매매 관련 족보도 판을 친다.


대표적인 게 정리매매 종목의 거래량이 늘면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이에 대해 강태신 KB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정리매매는 수급이 불명확하고 패턴이 없기 때문에 이런 얘기는 낭설”이라며 “위험이 크기 때문에 정리매매 조짐이 보이는 회사는 투자 자체를 피하는 게 맞다”고 했다.



정리매매에 투자해 돈을 번 사람이 많지 않다는 것은 수치로도 입증됐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이후 상장폐지된 종목 16개의 정리매매 기간 수익률은 평균 마이너스 85.4%에 달했다.


정리매매가 끝난 뒤 회사 사정이 양호해질 것이라고 예상하고 주식을 매수하는 이도 있는데, 이 또한 위험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강 애널리스트는 “기본적으로 상장폐지되는 것은 기존에 쌓여 있던 결손금이 많다거나 추가적인 부실이 있을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enyo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