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중공업은 스위스 해운 회사인 MSC로부터 2017년 9월 수주한 2만3000TEU(1TEU는 길이 6m짜리 컨테이너 1개)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6척 가운데 첫째 선박이 건조돼 출항했다고 7월 8일 밝혔다.
‘MSC 굴슨’으로 이름 붙여진 이 선박은 길이 400m, 폭 61.5m, 높이 33.2m로 20피트(6m)짜리 컨테이너 2만3756개를 한 번에 실어 나를 수 있다. 20피트 컨테이너 1개의 길이는 약 6.1m로 2만3756개를 한 줄로 세우면 145km에 이른다.
이 선박에는 삼성중공업이 독자 개발한 차세대 스마트십 시스템 ‘에스베슬(SVESSEL)’이 탑재돼 안전하고 경제적인 운항이 가능하다.
황산화물 배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스크러버(황산화물 저감 장치) 설치는 물론 향후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추진 선박으로도 쉽게 개조할 수 있도록 설계(LNG-ready)한 친환경 스마트 선박이라는 게 삼성중공업의 설명이다.
세계 최대의 컨테이너선을 건조, 인도한 삼성중공업은 일찍이 1990년대부터 컨테이너선 대형화에 앞장서 왔다. 5000TEU가 주종을 이루던 1990년 세계 최초로 6200TEU급을 개발했다.2000년 7700TEU와 8100TEU를 연이어 개발, 더 많은 컨테이너를 더 빠른 속도로 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을 개발해 왔다.
이후 2004년 1만2000TEU급 컨테이너선 개발에 성공하며 5년 만에 적재량을 2배로 늘렸다. 2015년에는 일본 MOL사로부터 2만100TEU급 컨테이너선 4척을 수주하며 세계 최초로 2만TEU급 컨테이너선 시대를 열었다. 삼성중공업은 이번 2만3000TEU급 컨테이너선 인도로 다시 한 번 이 분야의 세계 기록을 갈아치웠다.
◆ KCC, 기업분할 통한 신설 법인 KCG 설립

KCC 측은 이번 기업분할이 다양한 사업군을 분리함으로써 책임 경영 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차원의 인적분할이라고 덧붙였다. 신설 법인 KCG는 유리 사업과 홈CC인테리어 사업, 상재 사업 부문 등 3개의 사업 부문을 축으로 2020년 1월 1일 출범한다.
이에 따라 KCC는 실리콘·도료·소재를 중심으로 한 신소재 화학 기업으로 거듭난다. KCG는 유리·인테리어 중심의 종합 유리 사업자로 도약하게 된다.
◆ 두산, 글로벌 종합 물류 기업으로 도약 나선다

두산은 지게차 제조 영역이 국내에서 5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두산로지피아로 대표되는 ‘다운스트림’ 서비스와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과의 시너지를 통해 종합 물류 서비스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동현수 두산 부회장은 “지게차 제조, 다운스트림 서비스, 물류 자동화 솔루션을 통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바탕으로 지게차 제조 국내 1위를 넘어 글로벌 무대에서 종합 물류 서비스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한화시스템, ‘에어택시’ 사업 진출…美 기업에 295억원 투자

PAV는 교통 체증, 대기오염·소음 등을 극복할 새로운 운송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고 보잉과 에어버스 등 글로벌 항공기 제조업체와 여러 스타트업이 개발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번 투자를 통해 한화시스템은 K4 에어로노틱스의 일정 지분을 확보하는 동시에 미국 시장을 공략할 PAV 개발에 동참하게 된다. 또 앞으로 점차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 메리츠·하나금투·NH투자, 오스트리아 빈 힐튼호텔 건물 인수

힐튼 빈은 빈 중심가에 자리한 객실 수 579개의 대형 호텔이다. 메리츠종금증권은 해당 건물이 작년 말 힐튼호텔과 20년간 장기 임차 계약을 체결해 향후 안정적인 수익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 현대모비스, 얀덱스와 공동개발한 ‘로보택시’ 첫 공개

해당 차량은 앞으로 러시아 모스크바 시내에서 시범 주행에 나서게 된다. 현대모비스와 얀덱스는 올해 말까지 자율주행 플랫폼 차량을 100대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러시아 전역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범 운영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두 회사는 지난 3월 ‘딥러닝 기반의 자율주행 플랫폼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완전 자율주행 플랫폼 개발 시기를 앞당기고 완성도 높은 모빌리티 서비스를 세계시장에 선보이기 위한 전략적 제휴다.
MOU 체결 이후 양 사는 신형 쏘나타를 기반으로 공동 개발을 진행한 지 6주 만에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한 첨단 플랫폼 차량으로 변신시켰다. 현대모비스는 빠른 기술 개발이 가능하도록 연구진을 러시아로 파견해 플랫폼 개발을 지원했다.
얀덱스는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플랫폼 위에 적용하는 작업을,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 센서들과 제어기들을 장착하고 시스템 전체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각각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협력을 바탕으로 양 사는 앞으로 글로벌 시장으로 서비스를 더욱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양 사가 앞으로 글로벌 시장으로 서비스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포스코, 전 세계 철강사 최초로 지속가능채권 발행

아시아(65%)·미국(28%)·유럽(7%) 등 지역 투자자들이 참여해 포스코 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ESG) 채권에 고른 관심을 보인 가운데 발행 금리는 5년 만기 미국 국채금리에 105bps(베이시스포인트)를 가산한 2.874%로 결정됐다. 이 채권은 싱가포르 거래소(SGX)에 상장될 예정이다.
◆ LG,베이징 트윈타워 매각 검토

LG그룹 측은 “자산 효율화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데 베이징 트윈타워 매각도 그중 하나로 알고 있다”며 “다만 구체적으로 매각이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LG 베이징 트윈타워는 총 4억 달러(4700억원)를 투자해 2005년 준공됐다. 2개 동으로 구성된 빌딩은 지하 4층~지상 30층(140m)으로 총면적이 8만2645㎡에 달한다.
cwy@hankyung.com I 사진 한국경제신문·각사
[본 기사는 한경비즈니스 제 1233호(2019.07.15 ~ 2019.07.21) 기사입니다.]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