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실질임금이 시장에서의 균형보다 상당 기간 높게 유지될 수 있는 이유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① 노동자들이 기업 경영진보다 위험을 더 선호한다.
② 노동조합원들이 협상을 통해 높은 임금을 요구한다.
③ 실질임금을 높여주면 노동자들이 더욱 열심히 일한다.
④ 실질임금을 높여주면 노동자들의 이직률이 낮아진다.
⑤ 실질임금을 낮추면 최저생계비가 유지되지 않아 노동자들의 건강이 악화된다.



2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미국 경제가 유동성 함정(liquidity trap)에 빠졌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다음 중 유동성 함정에 빠진 경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명목 이자율이 0에 가깝다.
② 재정정책의 효과가 클 수 있다.
③ 극심한 경기 침체기에 나타나기 쉽다.
④ 화폐의 수요가 이자율에 대해 비탄력적이다.
⑤ 전통적인 통화정책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3 원화 환율이 오직 구매력 평가설에 의해 결정될 때 지난 1년 동안 한국 물가가 3% 오르고 미국 물가가 8% 상승했다면 원화 환율(원·달러)의 변동 폭은 얼마가 될까?

① 2% 하락
② 5% 상승
③ 5% 하락
④ 11% 상승
⑤ 11% 하락



▼해설
1 암묵적 계약 이론(implicit contract)은 실질임금의 경직성에 대한 이론으로, 단기적 경제 침체에 고용량이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실질임금은 쉽게 변동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노동자는 안정적이고 고정된 임금을 선호하고 기업은 노동자보다 위험을 더 선호하기 때문이다. 이때 기업은 일정한 임금을 제시하고 한동안 변화시키지 않음으로써 실질임금은 시장 균형 임금보다 상당 기간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정답 ①



2 유동성 함정은 명목 단기이자율이 0에 가까운 상태로 ‘통화정책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경제 상황’이다. 통화공급이 늘어나도 이자율이 0 이하 마이너스(-)로 하락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자율이 0에 가까우면 돈을 빌려주지 않고 현금으로 보유하려고 한다. 유동성 함정에서는 화폐 수요가 이자율에 완전 탄력적이 돼 이자를 낮춰도 화폐 수요만 증가할 뿐 투자와 소비로 이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정답 ④



3 구매력 평가설은 ‘한 나라의 화폐는 모든 나라에서 동일한 수량의 재화를 구입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이론이다. 국가 간 통화의 교환 비율은 각국 통화의 상대적 구매력을 반영한 수준으로 결정된다는 주장이다. 미국 달러는 미국에서나 한국에서나 똑같은 양의 물건을 살 수 있어야 하고 원화 역시 한국에서나 미국에서나 동일한 양의 재화를 구매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나라 화폐의 한 단위는 어떤 나라에서나 동일한 실질가치가 있다. 환율이 구매력 평가설에 의해 결정된다면 한국의 물가 상승률에서 미국의 물가 상승률을 차감하면 환율 변동 폭이 된다. 따라서 원화 환율은 5% 하락한다. 정답 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