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혁신 포트폴리오 관리를 위한 자원 배분 전략’

Based on “Resource Allocation Strategy for Innovation Portfolio Management” by Ronald Klingebiel and Christian Rammer(2014, Strategic Marketing Journal, 35, pp. 246~268)

[저널 리뷰] 혁신 투자, 금액보다 포트폴리오를 넓혀라
연구 목적
요즘과 같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출시되는 대부분의 신제품은 무수한 경쟁에 직면해 있다. 기업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상업화가 불확실한 혁신 제품의 개발 프로젝트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하는 압박을 받고 있다. 사실 한정된 자원을 불확실한 혁신 활동에 적절하게 배분하는 것은 경영자에겐 매우 어려운 과제다.

로널드 클링게비엘 영국 워릭대 교수와 독일 유럽경제연구센터의 크리스티앙 라머 박사는 전략 경영 저널(Strategic Marketing Journal) 최근호에 ‘혁신 포트폴리오 관리를 위한 자원 배분 전략’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혁신적 성과, 특히 신제품 판매에서 자원 배분 전략의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또한 혁신의 전략적인 관리에서 자원 배분의 폭과 선택, 혁신 의지 간의 관계가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연구했다.


연구 대상
기업이 제품을 개발할 때 혁신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해당 과업에 배분된 자원의 양과 질은 제품의 성공 여부를 가르는 척도’ 중 하나다. 그러나 사실 혁신 활동과 성과와의 관계는 그 이상으로 복잡하다. 경영자는 ▷미래 고객의 선호도 ▷기술 표준 ▷경쟁 상황과 같은 혁신 성공의 주요 요인을 토대로 미래를 전망한다. 하지만 제품의 상업화에 대한 성공 여부의 불확실성이 심화됨에 따라 미래를 전망할 수 있는 기간마저 점차 짧아지고 있다. 실제로 신제품 개발의 시장 진입 시기는 기업이 예상한 시점을 훨씬 더 앞서기도 한다. 결국 기업이 혁신을 위해 한정된 자원을 배분할 때 잘못 전망할 수 있는 리스크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초반에 긍정적으로 전망했던 프로젝트가 궁극적으로는 실패할 수 있고 초기에 난항을 예상했던 프로젝트가 결국 성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들은 여러 프로젝트로 구성된 프로젝트 포트폴리오를 조정함으로써 혁신 활동을 관리한다. 기업이 시행하는 프로젝트의 폭이 넓을수록 관련 산업이나 시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 파악이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단점도 존재한다. 여러 프로젝트를 포트폴리오로 관리할 때 개별 프로젝트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질 수 있고 조직의 복잡성이 증가하거나 작업 동기가 약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원 배분의 범위가 혁신적 성과를 증진시키느냐에 대한 질문과 함께 어떤 조건에서 성과가 달성될 수 있는지에도 주목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혁신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 배분 전략을 3가지 측면에서 연구했다. 바로 ‘폭(breadth)’, ‘선택(selectivess)’, ‘혁신 의지(innovation intent)’다.

첫째 전략인 ‘혁신 활동의 폭’은 개발 초기에 얼마만큼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에 자금을 투입하는지에 대한 전략이다. 혁신적 노력이 각 프로젝트별로 고르게 이뤄진다는 것이다.

둘째 전략인 ‘선택’은 추가적인 자원 배분을 할당할 프로젝트와 그렇지 않은 프로젝트를 구분해 선별하는 선택과 집중 전략이다. 이는 초기 개발 단계에서는 폭넓게 프로젝트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시장성이 확실해지는 프로젝트를 선별해 집중하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마지막으로 ‘혁신 의지’는 기존 제품의 단순한 개선에서 새로운 시장 분야로의 진출까지 이뤄지는 전반적인 혁신 노력을 지칭한다. 선행 연구들은 기업의 자원 배분 전략이 이 세 가지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다는 것을 연구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각각의 측면과 혁신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 방법
연구진은 이러한 세 가지 관점에 대한 가설을 설정했다.첫째, 많은 프로젝트에 투자할수록, 즉 자원 배분의 폭이 넓을수록 제품의 혁신 성과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둘째, 자원 배분의 폭이 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선택과 집중을 하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더 크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상업성을 전망하기 어려운 제품 개발 초기에 자원을 폭넓게 배분하면서 성공할만한 제품에 투자한다면 후기 단계에서는 선별 작업을 기반으로 소수의 프로젝트에 투자해 최종적인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셋째, 혁신 의지를 갖춘 기업이 자원 배분에 따른 높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 제품과 밀접하게 연관된 프로젝트에 집중하는 기업이 있는 반면 현재 보유한 지식이나 역량과 거리가 있는 프로젝트에 높은 비중을 두는 기업도 있다. 경영자가 부족한 정보를 보유한 제품을 개발한다는 것은 다시 말해 강한 혁신 의지가 있다는 의미다. 마지막으로 이 세 가지 관점을 종합해 설정한 가설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프로젝트 포트폴리오의 폭을 보완하는 것이 혁신 의지가 강한 기업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연구진은 2006~2008년 실시된 유럽연합(EU)의 기술 혁신 조사(CIS:Com-munity Innovation Survey) 중 독일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추출해 사용했다. 기술 혁신 조사의 데이터는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의 혁신 성과와 관련해 신제품 매출이라는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번 연구에 매우 적합했다. 이번 연구는 서비스업과 제조업에 종사하는 약 3만6000개의 표본 기업에 e메일을 통해 혁신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고 응답 결과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가설 검증 결과 혁신 프로젝트의 폭은 혁신적 성과에 매우 긍정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흥미로운 점은 혁신 활동의 폭이 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프로젝트 투자를 증가시켜 얻는 성과보다 더 큰 효과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기업이 혁신 활동을 수행하는 데 초기에는 폭넓게 다양한 분야에 자원을 배분하고 추후 선별적으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면 선택과 집중을 통해 더 높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혁신 프로젝트의 폭은 혁신적 성과에 매우 긍정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흥미로운 점은 혁신 활동의 폭이 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프로젝트 투자를 증가시켜 얻는 성과보다 더 큰 효과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 대비 개선된 제품 ▷기업 입장에서 신제품 ▷시장에서 신제품을 판매해 달성한 매출을 비교한 결과 ‘시장 입장에서 신제품을 출시한 경우’의 매출이 가장 높았다. 혁신 의지와 폭의 효과는 혁신 의지가 높은 경영자가 낮은 경영자 대비 더 큰 효과를 달성했다. 혁신 활동의 폭과 선택을 함께 갖춘다면 그 효과는 극대화될 수 있다.


시사점
이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더 발전할 수 있는 연구 주제들이 있다. 하나는 혁신 과정에서 주입되는 아이디어의 질이다. 현재 기준에서는 아이디어의 질을 판단할 때 기업 구성원의 학력 이외에 고려할 수 있는 게 별로 없었다. 또한 혁신을 추구하는 방법에서 두드러지는 산업별 차이점이나 혁신 프로젝트의 유형, 혁신적 노력의 결과물도 추가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 하나의 산업만 공략하고 연구해 포트폴리오 자원 배분의 폭과 성과 간의 관계, 혁신에 관한 불확실성의 근원, 프로젝트 중단 배경 등을 깊이 있게 살펴볼 수도 있다. 기업이 혁신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의사결정의 성향이 미칠 잠재적 영향과 선택이 이뤄지는 시점 간의 관계도 연구해 볼만한 주제다.

이러한 점에서 혁신의 파괴성(disruptiveness)도 중요한 관점이다. 이 연구는 단기의 성과에만 주목했지만 파괴적인 혁신은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연구가 시행된다면 혁신이 이뤄지는 산업에서 폭과 선택의 성과 효과를 더 면밀하게 살펴볼 수 있다.


조진희 삼정KPMG 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jinheecho@kr.kpm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