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렌베리 ‘투톱’… 사회 환원 등 조언


최근 방한한 마르쿠스 발렌베리 스웨덴 SEB 회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의 뜨거운 환대를 받았다. 발렌베리 회장은 한때 삼성그룹의 미래 모델로 알려져 국내에서도 유명세를 탄 스웨덴의 최대 재벌 발렌베리가의 5세대 경영자다. 그는 내로라하는 스웨덴의 대표 기업 최고경영자(CEO) 60여 명을 이끌고 신라호텔에서 3월 19일부터 이틀간 ‘SEB 연례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스웨덴 2위 은행인 SEB는 발렌베리 그룹의 모태가 된 곳이다. 창업자인 앙드레 오스카 발렌베리가 1856년 스웨덴 최초의 민간 은행으로 설립했다. 이번 행사는 SEB가 스웨덴 주요 기업인들을 초청해 매년 세계를 돌며 개최하는 콘퍼런스의 일환이다. 아시아에서는 중국과 일본에 이어 세 번째다.
[비즈니스 포커스] 삼성과 발렌베리의 만남이 주목받은 진짜 이유
이재용 사장과 오랜 친분

이재용 사장은 발렌베리 회장 일행을 리움미술관으로 초대해 국악과 재즈 공연을 곁들인 가운데 3시간 동안 비공개 만찬을 가졌다. 발렌베리 회장은 기자들을 만나 이 사장과의 오랜 친분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 사장은 2003년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과 함께 스웨덴 스톡홀름을 방문해 발렌베리가 경영자들과 만남을 가졌다. 발렌베리 회장은 박용성 두산중공업 회장 후임으로 국제상공회의소(ICC) 회장을 맡는 등 국제무대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2010년 11월에는 G20 비즈니스 서밋 금융 분야 의장을 맡아 서울을 찾기도 했다.

이 사장과 발렌베리 회장의 이번 만남이 더욱 주목받은 것은 ‘경제 민주화’를 강조하는 최근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 유럽 최대의 가족 소유 기업으로 꼽히는 발렌베리는 인구 900만 명에 불과한 스웨덴 경제를 사실상 좌지우지하면서도 국민들의 전폭적인 지지와 존경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 사장은 발렌베리 회장을 만나 기업 지배 구조, 사회 환원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방한 내내 대부분의 언론이 발렌베리 회장의 일거수일투족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지만 발렌베리 가문을 실제로 움직이는 핵심 인물은 따로 있다. 3월 20일 기자 간담회에서 발렌베리 회장의 오른쪽에 앉았던 야콥 발렌베리 인베스터 회장이 그 주인공이다. 발렌베리 회장은 SEB의 회장으로서 이번 행사의 호스트 역할을 한 것뿐이다. 발렌베리 회장의 동갑내기 사촌인 야콥 발렌베리 회장은 발렌베리 가문의 지주회사인 인베스터를 이끌고 있다.

애초 발렌베리 회장과 야콥 발렌베리 회장의 역할은 지금과는 정반대였다. 발렌베리 회장이 인베스터 회장을 맡고 야콥 발렌베리 회장이 SEB의 CEO를 맡았다. 그러나 2000년 정보기술(IT) 거품 붕괴로 에릭슨 등 관련 자회사들이 경영난에 빠지면서 그룹 전체가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2005년 두 사람의 자리를 맞바꾸는 결정이 내려졌다.

발렌베리는 각 세대에 2명의 경영자를 두는 이른바 ‘투톱’ 체제를 유지해 오고 있다. 대부분 한 명이 금융 부문을 맡고 다른 한 명이 산업 부문을 맡는 형태였다. 물론 경영자의 수가 2명으로 명확하게 규정돼 있는 것은 아니다. 모든 권한이 한 사람에게 집중되는 위험을 줄이고 만일의 경우에 대비한 ‘대안’을 마련해 둔다는 차원이다.

발렌베리 회장과 야콥 발렌베리 회장의 앞 세대 경영자는 마르크 발렌베리와 피터 발렌베리다. 마르크 발렌베리는 일찍부터 그룹 경영의 전면에 나섰지만 1971년 의문의 자살로 갑작스럽게 생을 마감했다. 마르크 발렌베리 회장이 남긴 아들이 마르쿠스 발렌베리 회장이다. 마르크 발렌베리가 죽고 나자 경영에는 별 뜻이 없던 그의 동생 피터 발렌베리가 후계자 자리를 이어받았다. 올해 86세인 그가 바로 야콥 발렌베리 회장의 아버지다.

전체적으로 보면 발렌베리 회장이 작은아버지인 피터 발렌베리 가족에 다소 밀리는 느낌이다. 큰아들인 야콥 발렌베리에 이어 2006년에는 작은아들인 피터 발렌베리 주니어를 인베스터 이사에 참여시켰기 때문이다. 지주회사 인베스터를 사실상 지배하는 크누트&앨리스발렌베리재단의 이사장과 부이사장에도 피터 발렌베리와 피터 발렌베리 주니어가 나란히 이름을 올려놓고 있다.

야콥 발렌베리 회장이 이끄는 인베스터는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를 무난하게 돌파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금융 위기 충격으로 스웨덴 주식시장이 40% 이상 폭락했지만 인베스터의 순자산 가치는 25% 감소하는데 그쳤기 때문이다. 발렌베리가 위기에 흔들리지 않은 것은 현금을 손에 쥐고 있었기 때문이다. 야콥 발렌베리 회장은 2007년 세계적 트럭 제조업체인 스카니아를 폭스바겐에 매각했고 스톡홀름 증권거래소 등 북유럽 증권거래소들을 운영하는 OMX를 나스닥-두바이증권거래소에 넘겼다(인베스터는 이후 나스닥 OMX의 지분을 다시 사들였다).

시장이 거의 정점에 도달한 절묘한 타이밍에 팔아치워 현금을 확보한 것이다. 발렌베리는 전통적으로 위기를 기회로 반전시키는 데 탁월한 능력을 발휘해 왔다. 1920년대와 1930년대 극심한 경제 불황 때 경영난에 빠진 주요 거래 기업의 출자 전환과 공격적인 인수로 발렌베리 왕국의 토대를 닦았다.

발렌베리는 검소한 생활 태도와 적극적인 사회 환원으로 스웨덴 국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발렌베리 가문이 5대에 걸쳐 일군 부는 3개의 공익 재단에 모아져 있다. 이 때문에 발렌베리 후계자들은 스웨덴 경제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개인 재산은 얼마 되지 않는다. 지주회사 인베스트와 자회사 이사회에 참여해 받는 월급과 소수 지분이 전부다. 발렌베리 경영자들은 스웨덴 100대 부자 명단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 이들에게 발렌베리라는 이름은 엄청난 책임감을 의미한다. 이는 5세대에 이르는 동안 분가나 큰 분란 없이 단일한 ‘그룹’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원동력이기도 했다.
[비즈니스 포커스] 삼성과 발렌베리의 만남이 주목받은 진짜 이유
[비즈니스 포커스] 삼성과 발렌베리의 만남이 주목받은 진짜 이유
‘스웨덴 100대 부자’에도 못 들어

발렌베리에서 가장 특이한 것은 지배 구조의 최상위에 공익 재단이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다. 발렌베리의 각 세대 경영자들은 자신들의 이름을 딴 공익 재단을 남겼다. 이 중 크누트&앨리스발렌베리재단이 자산 396억7800만 크로네(약 8조3600억 원)로 규모가 가장 크다. 이 재단이 지주회사 인베스터의 지분을 18.7% 소유하고 있다. 하지만 의결권 비중을 이를 훨씬 초과한다. 1주 10표를 행사할 수 있는 차등주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재단의 의결권 비중은 40.2%에 달한다. 사실상 인베스터에 대한 적대적 인수·합병(M&A)이 불가능한 형태다.

발렌베리 자회사들이 벌어들인 돈은 배당금 형태로 지주회사인 인베스터에 모이고 이것이 다시 공익 재단을 거쳐 사회에 환원된다. 발렌베리재단은 스웨덴 최대의 기초과학 연구 후원자다.

삼성이 발렌베리 모델을 따를 수 있을까. 여기에는 적지 않은 걸림돌이 있다. 우선 삼성그룹의 지주회사 전환이 필수적이다. 지분 정리에만 수십조 원의 자금이 필요한 작업이다. 지분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문제도 있다. 무엇보다 국내에선 차등주 발행이 불가능하다. 공익 재단의 지업 지분 소유에도 엄격한 제한이 가해지고 있다. 수년 전 삼성그룹이 ‘검토’에 그친 이유다. 발렌베리 모델은 스웨덴 사회가 역사적 경험 속에서 만들어 낸 대타협의 결과일 수밖에 없다.



장승규 기자 sk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