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행

최근 부산은행 주가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그 이유는 △올해 초 우리금융 민영화가 무산되면서 지난해 주가 반등을 견인했던 경남은행 인수 관련 인수·합병(M&A) 모멘텀이 소멸된 데다 △추가 충당금 적립으로 예상보다 지난해 4분기 실적이 부진했고 △최근에는 영업정지 저축은행이 부산 지역에 집중되면서 지역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불거졌으며 △사업 다각화 차원에서의 저축은행 인수 고려 발언으로 저축은행 인수 리스크가 부각됐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지주사 전환 과정에서의 발행주식 수 증가로 주당순자산가치(BPS)와 주당순이익(EPS) 가치가 하락하고 주식 이전에 따라 향후 보유하게 될 자사주가 시장에서 매물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한몫했다. 결국 이런 우려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투자 심리를 과도하게 위축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베스트 애널리스트 추천 '히든 챔피언'] 수익성·성장성 ‘으뜸’…배당도 ‘굿’
그러나 부산은행은 업계 최고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지니고 있는 은행이다. 더욱이 1분기 중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되면서 이익 개선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1분기 중 약 1100억 원의 순익이 예상되는 데다 올해 추정 순이익은 약 3850억 원으로 자기자본이익률(ROE)이 14.7%, 총자산수익률(ROA)이 1.1%에 달해 수익성이 시중은행을 압도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에 따른 우려에도 불구하고 최근 지역 경기가 큰 폭으로 개선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다. 부산 지역 중소기업 정상 조업률은 1월 중 90.4%를 기록해 1995년 이후 처음으로 90%를 웃돌고 있다.

부산항 신항이 본격 가동되면서 부산항 물동량이 역대 최고 수준까지 크게 늘었으며, 부산과 거제를 연결하는 거가대교 개통 이후 백화점과 마트 등 유통가 상권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2010년 이후 올해 1월까지 부산 지역 미분양 주택이 6136호나 감소해 현재 지역 미분양 주택은 3064가구에 불과하고 지난해 부산 주택 가격이 약 11.5% 상승하는 등 이미 부동산 경기도 호조다.

지주사 전환 관련 우려 과도해

금융지주사 전환에 따른 추가 신주 발행주식 수는 약 670만 주로 지주사 상장 후 발행주식 수가 기존보다 약 3.6%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발행주식 수 증가에 따른 주주 가치 희석 우려가 있지만 실제 BPS와 EPS 희석 폭은 각각 0.4%와 2.7%에 그쳐 미미할 전망이다.

지방은행은 그동안 높은 수익성에도 불구하고 신한지주와 같은 업계 대형 은행의 주가순자산배율(PBR)을 좀처럼 웃돌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그 이유는 총자산 규모와 시가총액이 적어 국내외 기관투자가의 관심이 대형 은행 대비 상대적으로 적고, 중소기업 의무 대출 비율(신규 취급액의 60% 이상)에 따라 중소기업 대출에 편중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수익성과 자산 건전성이 경기 변동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산은행은 지역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데다 부동산 관련 대출 비중이 적어 경기 모멘텀은 시중은행 대비 더 양호한 편이다. 또한 올해 과거의 고배당 정책이 재개되면 배당주로서의 매력도 부각될 수 있다. 과거 사례를 볼 때 은행주 강세 국면이 나타나면 지방은행의 PBR가 업종 내 최고 PBR를 기록하고 있는 신한지주와 같은 대형 은행 수준에 근접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이는 은행주에 대한 시장 참여자의 관심이 확대되면서 지방은행까지 수혜를 누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은행주가 강세를 띨 것으로 보이며 신한지주와 부산은행의 PBR 괴리도도 곧 축소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과도한 우려에 따른 저평가 국면은 좋은 매수 기회다. 지금은 부산은행에 대한 투자 비중을 확대해야 할 시기로 판단된다.


최정욱 대신증권 애널리스트

1973년생. 1999년 성균관대 무역학과 졸업. 2005년 고려대 경영대 석사. 1985년 한국투자증권. 2007년 대신증권 애널리스트(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