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과 테크놀로지가 만나다

음식이 첨단 정보기술(IT)과 결합하고 있다.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를 도입하는 식당이 등장했는가 하면 터치스크린 등 컴퓨터 첨단 기술이 식당 비즈니스를 혁명적으로 뒤바꿀 태세다.

최근 뉴욕 맨해튼 소재 식당들은 소셜 네트워크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를 놓고 치열한 아이디어 전쟁이 펼쳐지고 있다. 그동안 레스토랑들은 ‘그루폰’ 등 지역 할인 쿠폰 회사와 공동 마케팅을 펼치는 것으로 소셜 네트워크를 마케팅에 활용해 왔다.

이제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식당 운영의 핵심 기법으로 소셜 네트워크를 끌어들여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객들의 식당 체험이 앞으로 큰 변화를 겪을 것으로 보인다.

맨해튼 매디슨 애비뉴의 40번째 거리에 있는 ‘포푸드(4Food)’라는 햄버거 가게. 일종의 패스트푸드형 레스토랑인데 입구에 들어서면 식당이라기보다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판매하는 매장 같은 분위기를 풍긴다.
<Digimax i6 PMP, Samsung #11 PMP>
여기에서는 손님이 직접 자신이 마음에 드는 햄버거를 만들어 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자신이 만든 햄버거가 팔리면 돈도 벌 수 있다. 참여·공유·개방의 ‘웹 2.0’ 철학을 식당 운영에 활용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도넛 모양을 한 패티(쇠고기·양고기·터키·야채·연어 등)에다 다양한 재료를 결합할 수 있다. 주문은 예전 방식으로 카운터에서 할 수도 있지만 이곳을 찾는 고객들은 줄을 서서 기다리지 않고 식당 내에 비치된 6대의 아이패드를 이용해 온라인 주문 시스템으로 주문한다.

이곳이 소셜 네트워크를 잘 활용하는 것은 자신이 만든 햄버거에 별도의 이름을 붙여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통해 홍보하고 돈을 벌 수 있게 한 점이다. 과거 식당들은 입소문에 의존해 왔다.

얼마 전부터는 TV나 신문에 실리는 ‘맛집 소개’가 홍보에 큰 도움이 됐다가 최근에는 블로그들의 포스팅이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앞으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입소문이 식당의 성패를 좌우할 전망이다.

큰돈 들이지 않고도 엄청난 마케팅 효과

지난 8월 총 11개의 매장을 오픈한 포푸드는 창작 햄버거를 메뉴에 올린 고객에게 일종의 ‘앱 개발자’처럼 한 개가 판매될 때마다 25센트를 지급한다. 식당은 사이트에 ‘빌보드 차트’를 만들어 잘 팔리고 있는 햄버거 ‘톱 10’을 올려준다.

햄버거 개발자는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페이스북·트위터·유튜브 등에서 적극적인 홍보 활동에 나서게 돼 식당은 큰돈을 들이지 않고도 엄청난 마케팅 효과를 얻게 된다. 포푸드는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포스퀘어와 제휴, 고객들이 쉽게 매장을 찾을 수 있도록 해 주면 된다.

게다가 줄어든 마케팅 비용으로 좀더 좋은 품질의 제품을 구입하는 이점도 있다. 지난 8월 첫 매장을 오픈한 포푸드는 앞으로 유니온스퀘어와 컬럼버스 서클 등 맨해튼에 5개 점을 열고 브롱스·브루클린·퀸즈 등 뉴욕시 11개 지역에 매장을 열 계획이다.

또 맨해튼 6번가 30번째 스트리트에 있는 1850㎡(560평) 규모의 ‘푸드파크(FoodParc)’는 푸드코트에 테크놀로지를 결합했다. 입구에 들어서면 터치스크린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어 식당이라기보다는 전자 제품 판매 매장에 잘못 들어 온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보통 푸드코트에 들어서면 ‘뭘 먹을까’ 하고 한 바퀴 돌아보고 난 뒤 주문하기 위해 긴 줄을 서야 한다. 그러나 이곳에서는 터치스크린으로 다양한 주문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햄버거를 주문할 때 베이컨이나 치즈를 추가할지, 야채와 소스는 어떤 것을 택할지, 패티의 굽기 정도는 어느 정도를 할지 등 디테일한 사항을 터치스크린으로 택할 수 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영수증과 함께 주문 번호가 나온다. 자리에 앉아 자신의 번호가 대형 모니터 화면에 뜨면 음식을 가지러 가면 된다. 음식은 햄버거·파스타·샌드위치·만두·롤 등이 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 IT와 레스토랑의 결합은 새로운 조류로 자리 잡을 조짐이다. 더욱이 소셜 네트워크는 향후 모든 비즈니스의 모델을 뒤바꿀 가능성이 높다. 자신의 비즈니스에 이를 결합하려는 노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것이다.

뉴욕(미국)= 한은구 한국경제 문화부 기자 to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