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환경의 패러다임 변화

최근 국내외적으로 산업 환경의 패러다임이 크게 바뀌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도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기후변화, 자원 고갈 등 위기의식에 따른 소비 트렌드의 변화 때문이다. 1990년대 한국에서 웰빙의 열풍으로 친환경이 주의를 끌었다면, 최근 선진국에서는 로하스(LOHAS)족이 소비 패턴을 바꾸고 있다.

로하스는 웰빙보다 진일보한 개념으로 자기의 건강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의 건강과 풍요로운 삶까지 고려한 환경보호 마인드를 소비 활동에 적용한다는 뜻이다.

로하스족(族)으로 구분되는 소비자들은 친환경 제품,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제조된 제품을 선호하고 지구 환경과 사회 전체의 이익을 고려해 제품을 선택하려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로하스족은 국내에서도 크게 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소비 패턴의 변화와 함께 유럽연합(EU)과 일본 등 선진국은 전기전자·자동차 등 주력 수출품에 대한 환경 규제 강화와 납·수은 등 유해 물질 사용 제한, 친환경 설계 의무(EuP), 폐차 재활용 의무(ELV) 등 제품 환경 규제와 기술상 무역 장벽(TBT)을 강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은 중국과 동남아 등 개도국으로까지 확산되고 있으며 제품 환경 규제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소비 트렌드의 변화와 함께 기후변화와 자원 고갈은 산업 환경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다.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세계 10위(2004년 국제에너지기구 기준)다. 포스트 교토체제 논의가 본격화됨에 따라 의무 부담이 가증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 위기 이전엔 세계경제 활황과 중국의 수요 급증으로 생산에 필수적인 원자재 가격이 2003년 이후 폭등과 불안정한 사이클을 보여 왔다. 특히 우리나라는 해외 자원 의존도가 높아 국제 원자재 수급 불안정 등 외부적인 충격에 약하다. 독일 슈피겔 기자단은 ‘자원전쟁(2008)’을 통해 자원 부국과 빈국 간에 신냉전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보고 있다.

변화에 맞는 정책 정부가 앞장

최근 소비자의 의식이 점점 녹색화돼 가고 있다. 가까운 장래에 녹색 소비자가 주도하는 사회로 변화될 것이다. 이에 따른 사회경제 시스템의 변혁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즉, 현명한 소비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기업이 적극적으로 기술 개발에 투자, 녹색 시장이 활성화되는 선순환적 구조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명한 소비는 저탄소형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미래 세대를 위한 녹색 철학을 자사의 제품 및 서비스에 담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것이 미래 잠재 고객 확보의 지름길이 될 것이다.

이러한 산업 환경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정부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지식경제부는 자원 생산성 혁신, 녹색 경영 활성화, 청정 생산 연구·개발(R&D), 국제 환경 규제 대응, 청정 생산 종합 정보망 사업을 통해 산업 환경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자원 확보를 위한 국가 간의 치열한 경쟁과 자원 흐름 전 과정에서의 자원 수급, 폐기 후 재사용을 위한 순환 자원 정책 및 인프라 미흡으로 선진국 대비 낮은 자원 생산성을 보이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시 광산 및 재제조 산업 육성과 전국 산업단지의 생태 산업 단지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녹색 경영 기반이 미흡하고 중소기업의 녹색 경영 역량이 취약한 가운데서도 대·중·소 그린 파트너십을 통해 탄소 경영을 중소기업으로 확산시키고 있다.

특히 화학물질 관리 서비스(CMS)는 시범 사업에서 화학물질 구매량 및 관리비용 절감, 적기 구매율(Just-in-time) 향상, 공정 효율 개선 및 폐기물 절감 등 경제적·환경적 성과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국제환경규제기업지원센터를 통해 국제 환경 규제 트래킹 데이터베이스 구축, 국제 환경 규제 교육 홍보 컨설팅 기반 구축, REACH(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s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신화학물질 관리제도) 대응 산업 기반 구축, 전기전자 산업 규제 대응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식경제부 임국현 사무관은 “국내 중소기업들이 국제 환경 대응에 복합적인 상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의 많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병표 기자 tiki20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