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제가 실시됐어도 주민의 참여는 극히 부진한 것으로 조사됐다.지자제 이후 주민 참여도에 대한 설문에 대해 주민참여가 다소 또는 매우 활발하다는 응답은 23.6%에 그쳤다. 반면 주민참여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의견은 76.4%로 3배이상 많았다. 집단별로는 지방공무원이 주민참여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 47.3%에 달한반면 국가공무원들은 부정적 비율이 85%에 이르렀다.바람직한 주민참여 분야로서는 중장기 주요사업계획이 13.6%로 제일 많았다. 환경(11.9%) 지역개발(9.3%) 사회복지(8.5%)등이 상위에 랭크됐으나 보건복지(2.5%) 도시계획(2.5%)등은 하위로 밀렸다.집단별로는 학자는 환경(21.1%)을, 대기업 간부는 지방경제개발사업과 보건복지(각각 15.4%)를 제1과제로 꼽았다.참여형태는 공청회 등을 통한 의견수렴이 23.7%로서 가장 바람직한것으로 거론됐으며 주민의견을 수렴(9.3%)한다거나 각종위원회나시민단체의 활성화(9.3%)등도 많이 지적됐다.소속정당 차이는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그다지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장과 지방의회 의원의 소속정당이 다른 것에대해선 별로 문제될 것 없다는 의견이 62.6%로 문제가 심각하다는의견(37.0%)보다 훨씬 많았다. 다만 소속정당 차이로 인해 지자제운영에 문제가 있을 경우를 대비한 극복방안으로는 지방의원의 정당공천 배제가 42.7%로 1위를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또 정당공천을 하더라도 당리당략을 떠나 주민의 편의에서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도 5.4%로 2위를 기록했으며 정당이기주의 극복(4.9%)도 3위였다. 집단별로는 지방공무원의 정당공천배제 의견이 60.8%로 가장높게 나왔으나 대기업 간부는 27.1%로 제일 낮았다.교육자치에 대해서도 부정적 평가가 많았다. 우리나라 교육자치가어느정도 이루어지고 있느냐는 설문에 대해 극소수인 2.4%만이 특성있는 교육이 이뤄질 정도로 교육자치가 크게 진전됐다고 응답했다. 반면 중앙의존등으로 형식적 교육자치에 그치고 있다는 의견이49.4%에 달했으며 교육자치라고 할만한 내용이 없다는 극단적 평가를 내리는 사람도 48.2%나 됐다. 부정적 평가가 97.6%에 달하는 셈이다. 특히 학자들의 경우 교육자치라고 할만한 내용이 없다는 사람이 66.7%나 됐으며 국가공무원은 한사람도 교육자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았다.이같이 부정적 평가를 받고 있는 교육자치가 앞으로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는 △교육재정 자립이 52.6%로 가장 많았으며 △교원인사나 교육위원등 교육관청의 독립성 34.8% △교과목등교육내용의 독립성 12.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교육자치의 대상이 누구냐는 설문에 대해서는 지역주민이라는 의견이 52.8%로 과반수를 넘었다. 지방정부라는 견해는 29.4%였으며 중앙정부 및 문교부라는 사람은 14.2%에 그쳤다.한편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성남시의 장학금 지급문제와 관련해선선심성 예산지출의 성격이 강하므로 시정운영에 필요한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의견(80.2%)이 선거공약사업 이행이므로 장학금 사업을 시행해야 한다는 견해(18.6%)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