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건을 만드는 장소가 집안에서 공장으로 전환된 것은 19세기 산업혁명 이후였다. 기계의 발달로 가능해진 공장내의 대량생산은 생산력에 있어서 획기적인 증대를 불러왔으며 역사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그러나 대량생산은 인간에게 다른 고민거리를 안겨줬다.바로 불량제품이다. 한꺼번에 많은 제품이 쏟아지다보니 이와 비례해서 불량제품도 속출했다. 오늘날 보편화된 현대적 의미의 품질보증규격의 역사는 이같은 불량제품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서 비롯됐다.◆ 일본, 전사적 품질관리(TQC) 기법발전불량이 특히 심각했던 것은 군수품이다. 일단 전쟁이 일어나면 대개의 경우 물자부족을 겪게 되고 이런 상황에서는 제조업자들이 「정확히」보다 「빨리빨리」 만드는데 주력하게 된다. 1950년대말미 국방성이 취급하던 군수제품중 60~80%가 작동에 이상이 있었다는 통계가 있을 정도로 그 폐해는 대단했다.결국 미 국방성은 군납제품에 대해 엄격한 품질보증체제를 갖추도록 규격(MIL-Q-9858A)을 제정하는 방안을 고안했다. 이 규격이 성공을 거두자 원자력분야(IAEA안전규격) 기계산업분야(ASME규격) 식품·의약품분야(GMP규격)등 각 산업별로 내용이 조금씩 다른 품질보증규격들이 개발됐다. 나아가 미국의 국립표준기술원은 모든 분야에 적용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품질보증시스템규격(ANSIZ.1.15)을 제정하기에 이른다. 또 미 국방성의 규격을 접한 영국은제품의 경쟁력향상을 위한 필요성을 인정, 나름대로규격(BS5750)을 만들었다. 오늘날 국제표준의 품질인증규격으로 자리잡은 ISO9000시리즈는 바로 이 두나라의 규격을 모태로 해서 탄생한 것이다.한편 영미의 움직임과는 별도로 일본에서는 전사적품질관리(TQC)라는 기법이 발달했다. 영미에서는 품질보증을 위해서 제품보다는 생산조직과 과정, 경영마인드라는 측면에서 톱다운(Top Dowm)방식의접근을 시도한데 반해 일본은 제품 하나하나의 결함을 없애기 위해아래로부터 의견을 제시하는 보텀업(Bottom Up)방식으로 분임조나제안활동 등을 체계화시킨 것이다.지난 70년대 후반부터 구미에서는 각국의 규격을 통합, 「품질보증을 위한 국제적 규격」을 제정하려는 움직임이 일었다. 47년 국제규격을 통해 물자와 서비스 무역을 원활히 하기 위해 비정부간 기구로 발족된 국제표준화기구(ISO)는 그 법적 지위가 스위스민법 제60조에 의거하여 설립된 사단법인이었으나 사실상 이때부터 크게주목을 받게 된 것이다.영국 등의 제안에 따라 80년 5월에는 캐나다의 오타와에서ISO/TC176(품질경영및 품질보증에 관한 기술위원회)이 개최됐다.7년동안 회의와 회의를 거듭한 끝에 87년에 발표된 것이 품질보증에 관한 국제규격인 ISO9000~9004의 다섯가지 규격이다. 품질관련국제규격은 유럽연합(EU)에서 국가규격으로 채택함으로써 전세계에확산됐고 국내에서도 92년에 국가규격으로 제정하게 됐다.ISO는 현재 77개 정회원국과 22개 준회원국등 1백여개의 회원국을확보하고 있다. 각국의 대표적인 표준기관에 하나의 회원자격을 부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지난 63년에 공업진흥청(현중소기업청)이 정회원으로 가입했다. 작년에는 임기 2년의 이사국으로 선출돼 표준규격을 제정하는데 있어서 우리의 의사를 적극적으로 반영시키는 기틀을 마련했다. 그동안 ISO는 8천8백건이 넘는국제기준을 제정했으며 현재 각종 기술위원회(TC)에서 약7천건에달하는 의제를 다루고 있다.조직은 총회와 이사회 기술관리부 중앙사무국 자문위원회 기술위원회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핵심적인 일을 추진하는 기술위원회는 몇개의 분과위원회(SC)로 구성돼 업무를 추진한다. 현재 환경경영과관련된 국제표준화작업을 맡고 있는 기술위원회(TC207)에는 6개의분과위원회를 두고 있다.최근에는 안전과 관련된 ISO18000시리즈를 구상하고 있으며 각국의인정기관(ISO관련 인증 연수기관들을 관할하는 곳으로 민간기관이거나 정부)들을 통합하는 국제인정기관을 두려는 움직임도 보이고있다고 전문가들은 밝히고 있다.ISO는 과거 강제적인 표준이나 검사제도의 절차를 규정하지 못하고 권고적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기구에 머물러 그 중요성을 충분히인정받지 못한 게 사실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거의 모든 국가가회원으로 가입해 있고 표준작업도 상당히 진행된데다 강제력을 띤국제협정들이 가급적 기존의 국제표준을 채택하는 경향이 커짐에따라 그 지위는 날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